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836
등록일

2016.11.30

제 16-48호
시작도 끝도
왕하 14:1-7, 계 1:8


대망의 2016년 새해가 시작된 지도 벌써 11개월이 지났습니다. 세초부터 세말까지, 알파와 오메가이신 하나님께서 시작부터 마지막 끝까지 은혜로 붙잡아 주신 한 해임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 말씀하고 있듯이, 하나님께서는 “이제도 있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라”라고 하셨습니다. 알파와 오메가이신 우리 주님이 세상을 심판하시기 위해 당당히 왕으로서, 심판자의 모습으로 재림하시는 것입니다.
2016년도 한 해를 결산하기에 앞서, 올 한 해 알파와 오메가이신 하나님 앞에 떳떳한 믿음의 열매를 가지고 있는가 점검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 백(白)보좌 심판대 앞에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잘한 것이라곤 하나도 생각나지 않고 잘못한 것만 생각나는 사람이며, 다른 하나는 반대로 잘못한 것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고 잘한 것만 생각나는 사람입니다. 마 25장의 양과 염소의 비유, 왼편과 오른편에 선 자들의 모습에서 이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금년 한 해를 거의 다 보낸 지금, 우리는 어떤 자세로 하나님 앞에 서 있습니까?



1. 시작은 바로 했으나 나중이 문제입니다.


왕하 14장 본문 말씀을 볼 때, 아마샤 왕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한 왕입니다(:3). “여호와 보시기에”의 원어는 “여호와의 눈에”라는 뜻으로, 그가 하나님 보시기에 구부러지지 않고 정직히 행했다는 뜻입니다. 그 결과로, 5절 말씀을 보면 “나라가 그 손에 굳게” 섰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건대, 처음에는 아마샤 왕이 나라를 잘 통치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백성의 마음을 흐뭇하게 해 주고, 국가의 기강을 바로 세웠을 뿐 아니라 하나님 보시기에도 정직하게 행한 왕이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아마샤 왕의 처음 열심이 끝까지 가지 못했습니다. 그의 정직이 끝까지 이어지지 못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왕하 14:3 본문에서는 “그 조상 다윗과는 같지 아니하였으며”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25세의 젊은 나이에 왕이 되어 29년간이나 나라를 통치했지만 그 결국은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습니다. 신하들이 모반하고, 결국 라기스까지 도망친 아마샤 왕을 끝까지 쫓아가 죽인 후, 그 시체를 말에 실어서 예루살렘으로 가지고 와 장사 지냈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습니다(왕하 14:19-20). 잘 나가던 초기의 모습과 너무나 대비되는 비참한 최후가 아닙니까? 금년 한 해를 결산하는 각자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볼 때, 아마샤 왕과 같이 시작은 바로 했지만 그 ‘끝’이 아마샤 왕처럼 좋지 않게 되지는 않았습니까?
행 5:1-11 말씀에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가 나옵니다. 이들 부부도 처음에는 순수한 신앙과 뜨거운 열심을 가졌었습니다. 그래서 자신들의 밭을 팔아 헌금하고자 결심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열정이 끝까지 가지 못했습니다. 밭을 팔아 돈을 보는 순간 마음이 변하여, 일부만 바치기로 결심했던 것입니다. 그 결과로 두 부부가 한 날에 무덤에 장사 지낸 바 되는 저주를 받았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올 한 해의 결산을 앞두고 우리의 결론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끝까지 충성하자”. 시작부터 끝까지, 알파와 오메가이신 주님을 붙잡고, 처음 열심이 마지막까지 이어지는 한 해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2. 시작은 바로 했는데 악을 보며 닮은 것이 문제입니다.


아마샤 왕의 또 다른 문제는, 시작은 바로 했지만 도중에 부친의 악을 보며 닮아 간 데에 있습니다. 대상 24장을 보면, 아마샤의 부친 요아스도 처음에는 시작이 좋았습니다. 왕이 되자, 하나님의 전을 건축하고, 대제사장 여호야다를 통해 날마다 하나님께 번제를 드리는 등 진실한 신앙의 행위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여호야다가 죽자, 아세라 목상과 우상을 섬기고, 이를 반대하던 여호야다의 아들 스가랴를 죽이는 죄를 범하였습니다(대하 24:18,22). 그리하여 아마샤의 부친 요아스는 그 신복들이 모반하여 침상에서 죽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대하 24:25-27). 그런데 아마샤 왕도 부친 요아스 왕의 악한 길을 그대로 답습하고 말았습니다. 시작은 바로 했지만, 악을 보면서 닮은 것입니다.
아사 왕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하 15:1-15 말씀을 볼 때, 아사 왕도 초기에는 우상을 타파하고 하나님만을 경배하므로, 온 백성이 즐거워하고 하나님께서도 기뻐하셨습니다. 39년 동안 아사 왕이 받은 은혜가 얼마입니까? 그런데 대하 16:10 말씀을 볼 때, 아사 왕이 선견자를 옥에 가두고 크게 학대하므로 하나님께서 노하셨습니다. 그래서 깨닫도록 발에 병을 주셨으나, 회개하거나 하나님을 찾지 않고 도리어 의원을 먼저 찾으므로, 결국 하나님의 치심을 받아 죽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다윗 왕도 이 왕들과 같이 죄를 범하였지만, 하나님의 책망에 진심으로 회개하고 돌이킴으로 다시 처음의 열심, 시작할 때의 정직한 신앙으로 돌아갔기에, 끝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받고 그 마음에 합한 자라는 인정을 받게 되었던 것입니다(행 13:22).




결 론 : 우리는 사물을 볼 때마다 하나님의 신성과 능력을 깨달아야 합니다. 2016년 대망의 한 해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금년 한 해 정말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붙잡고 살아왔습니까? 처음 시작 때 품었던 열심, 서원했던 것들이 연말이 가까워 오는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습니까? 시작도, 끝도 동일한 믿음과 열심으로 달려가야 합니다. 알파와 오메가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붙잡고 시작부터 끝까지 충성하시는 성도님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추천 수 날짜 최근 수정일
416

주님의 성찬식의 번제 file

제 17-14호 주님의 성찬식의 번제 마 26:26-29, 눅 22:7-21 기독 교회는 성찬 예식과 세례를 대표적인 성례(聖禮)로 지금껏 지켜 오고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별히 성찬 예식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날 밤에 예수님께서 직접 정하시고, 기념...

 
  2017-04-04 2017-04-04 20:01
415

구약 제사의 영적 의미 file

제 17-13호 구약 제사의 영적 의미 레 1:1-19 구약에 나오는 여러 가지 제사는 오늘날 우리가 드리는 예배의 뿌리가 됩니다. 제사 규례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레위기’는 히브리어로는 ‘와이크라’인데, 그 뜻은 ‘그분께서 부르셨다’입니다. 그래서 레위기...

 
  2017-03-26 2017-03-26 17:18
414

삼손의 큰 힘은? file

제 17-12호 삼손의 큰 힘은? 삿 16:15-17 오늘 본문의 주인공인 삼손은 어머니 태에서부터 거룩하게 구별 받은 나실인이었습니다. ‘나실인’이란 두 가지 조건을 갖춰야 하는데, 먼저는 하나님께 거룩하게 구별된 자로서 포도주나 독주를 금하며 시체를 만...

 
  2017-03-19 2017-03-19 14:49
413

하나님을 가까이하면 file

제 17-11호 하나님을 가까이하면 약 4:6-8 하나님께서는 주사 바늘처럼 뾰족한 것도 놓이려야 놓일 수 없는 빈틈없는 믿음을 참믿음, 완전한 믿음이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믿음은 겨자씨만큼만 있어도 뽕나무를 명해서 바다에 옮겨 심을 수 있는...

 
  2017-03-13 2017-03-13 20:53
412

하나님의 이름 file

제 17-10호 하나님의 이름 호 6:3, 요 17:3 성경에서 ‘이름’은 그것을 지닌 자의 존재를 대표합니다. 그러므로 이름을 잊어버린다는 것은 그 존재를 잃게 됨을 뜻합니다. 이에 대해 전도서 기자는 “무릇 산 자는 죽을 줄을 알되 죽은 자는 아무도 모르며 ...

 
  2017-03-05 2017-03-13 20:54
411

많은 병자가 받은 은혜는? file

제 17-9호 많은 병자가 받은 은혜는? 막 1:40-45 오늘 본문은 예수님에 관한 소문을 들은 한 문둥병자가 예수님께 나아와 꿇어 엎드려 고침을 받은 사실과, 그가 놀라운 은혜를 받고 감사하여 예수님의 능력과 이름을 많이 전파했다는 내용을 말씀하고 있...

 
  2017-02-26 2017-03-05 20:39
410

가나안 땅에 들어간 사람들은? file

제 17-8호 가나안 땅에 들어간 사람들은? 민 14:1-30 과거 이스라엘 백성은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땅, 풍요의 땅에 들어가는 것이 꿈이었다면, 오늘날 우리는 신령한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 신앙의 목표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

 
  2017-02-20 2017-02-20 19:50
409

날마다 형통과 태평과 부흥 file

제 17-7호 날마다 형통과 태평과 부흥 시 84:1-12, 행 9:31, 16:5 본문 시편 84:5에 보면 “주께 힘을 얻고 그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복이 있나이다”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마음에 시온의 대로가 있는 자는 날마다 형통과 태평과 부흥을 얻을 ...

 
  2017-02-13 2017-02-13 20:54
408

생명책에 내 이름이 file

제 17-6호 생명책에 내 이름이 빌 1:1-12, 4:1-3, 계 20:12-15 생명책에 우리의 이름이 기록되지 못하면 불 못에 던짐을 당하기 때문에, 생명책에 내 이름이 있다는 것만큼 큰 축복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오늘 본문 빌립보서 4장에서 사도 바울이 말씀하...

 
  2017-02-06 2017-02-06 20:33
407

세 번의 기회를 놓치지 말라 file

제 17-5호 세 번의 기회를 놓치지 말라 호 6:1-3, 사 1:2-6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세 번의 기회를 주시고 또한 세 번의 벌을 내리십니다. 허락하신 세 번의 기회를 통해 돌이켜 하나님에게 돌아오면 살지만, 그 기회를 다 놓쳐 버리면 호 6:1-2 말씀처럼...

 
  2017-01-31 2017-01-31 21:52
406

오직 지혜 있는 자는 깨달으리라 file

제 17-4호 오직 지혜 있는 자는 깨달으리라 마 24:1-22 본문은 예수님께서 종말에 될 일과 때에 관해서 말씀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특별히 다니엘 선지자의 예언을 인용하여 말씀하심으로써, 마지막 종말에 관한 다니엘 선지자의 예언이 무엇인가를 알 필...

 
  2017-01-27 2017-01-31 09:19
405

간절한 기대가 있다면 file

제 17-3호 간절한 기대가 있다면 빌 1:12-26 본문 20절에서 사도 바울은 “나의 간절한 기대와 소망을 따라”라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간절한 기대’라는 말은 ‘사람이 목을 쭉 내밀어 바라봄’이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2017년에, 우리 모두가 씨만 ...

 
  2017-01-18 2017-01-19 15:51
404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사람 file

제 17-2호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사람 삼하 6:1-15 오늘 본문은 수금을 타는 자 중에 한 사람이자 궤의 문을 지키는 수문장에 불과했던 오벧에돔이 하나님의 법궤를 모신 3개월의 짧은 기간 동안 어떻게 큰 축복을 받을 수 있었는지 그 비결을 말씀해 주...

 
  2017-01-11 2017-01-12 10:25
403

평생이 한 순간에 (아침과 저녁) file

제 17-1호 평생이 한 순간에 (아침과 저녁) 시 90:1-17 오늘 본문은 율법의 아버지인 모세의 고백을 통해 시간이라고 하는 한계 상황에서 몸부림치는 나그네와 같은 인생의 한계와 덧없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본문 3-9절 말씀을 볼 때, 인생은 밤의 한 ...

 
  2017-01-04 2017-01-06 09:41
402

탄생하신 예수님을 찾아 만난 보통 사람(평민)들 file

제 16-52호 탄생하신 예수님을 찾아 만난 보통 사람(평민)들 눅 2:21-39 인류의 시조 아담 한 사람의 타락으로 이 땅에 죄가 오고 죄의 결과로 사망이 온 것입니다(롬 5:12, 롬 6:23). 예레미야 선지자는 어떠한 비누로 씻는다 해도, 우리 몸을 뼈와 살로...

 
  2016-12-28 2016-12-28 22:01
401

주인께서는 금년에도 열매를 구하러 찾아오셨는데 file

제 16-51호 주인께서는 금년에도 열매를 구하러 찾아오셨는데 눅 13:1-9 아담 타락 이후 지금까지 하나님은 우리가 모두 ‘회개’하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오늘 본문에 나오는 두 가지 사건은 모두 ‘회개’라는 공통점을 안고 있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의 ...

 
  2016-12-21 2016-12-21 20:53
400

인생의 덧없는 시간 붙잡지도 못하고 file

제 16-50호 인생의 덧없는 시간 붙잡지도 못하고 시 90:1-17 ‘연말’이라는 시간은 사람들의 마음에 기쁨보다도 허무감이나 아쉬움을 갖게 해 줍니다. 금년 한 해, 어려운 때에 시작됐지만 그러한 중에도 한 해를 마감하는 시간이 어김없이 다가왔습니다. ...

 
  2016-12-12 2016-12-14 09:24
399

오늘부터 복을 주리라 file

제 16-49호 오늘부터 복을 주리라 학 2:10-19 성전은 하나님의 눈동자와 마음이 머물러 있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누구라도 ‘성전 건축’에 대한 마음만 가져도 기뻐하시고 복을 주십니다. 오늘 본문의 배경을 보겠습니다. 바벨론 포로지에서 ...

 
  2016-12-05 2016-12-06 13:25
»

시작도 끝도 file

제 16-48호 시작도 끝도 왕하 14:1-7, 계 1:8 대망의 2016년 새해가 시작된 지도 벌써 11개월이 지났습니다. 세초부터 세말까지, 알파와 오메가이신 하나님께서 시작부터 마지막 끝까지 은혜로 붙잡아 주신 한 해임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 말씀...

 
  2016-11-30 2016-11-30 21:36
397

정성을 다해 감사를 주께 보여 드리자 file

제 16-47호 정성을 다해 감사를 주께 보여 드리자 딤후 4:9-18 구약성경을 볼 때, 하나님이 선민 이스라엘 백성에게 세 가지의 감사 절기를 명령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유월절과 오순절, 그리고 수장절의 세 가지 절기는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주...

 
  2016-11-20 2016-11-20 21:11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