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등록일

2018.09.01

pkblog_body167.jpg
가룟 유다의 죽음을 둘러싼 많은 이야기가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배신한 제자로 이후 양심의 가책을 느껴 목매어 자살한 제자. 성경은 그가 스스로 목을 매고 몸이 곤두박질하여 창자가 터져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길 유다가 나무에 목을 매자, 그가 달려있던 나뭇가지 혹은 밧줄은 예수님을 배신한 자가 매어져 연결되어 있음을 수치스러워하며 끊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There are many stories surrounding the death of Judas Iscariot, the disciple who betrayed Jesus Christ and later felt such remorse that he committed suicide by hanging. The Bible records of him hanging himself and also of him falling and his body bursting open. It’s generally concluded that Judas hung himself on a tree, and the branch or rope that was holding him snapped out of shame for being associated with the man who betrayed Jesus.


또한 서양박태기나무, 흔히 유다나무로 더 잘 알려진 나무에 관한 중세 전설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이 나무는 한때 견고하고 늠름하게 자리 잡아 눈같이 하얀 아름다움으로 꽃피웠지만, 유다가 자신의 목을 맬 나무로 선택함으로써 수치스러운 붉은 핏빛으로 물들어 버렸다고 한다. 이 나무는 하나님께 간구하길 자신을 더 약하게 만들어 그 누구도 그것의 가지들에서 죄짓지 않게 해달라고 간구하였다. 현대 증거들에 의하면 서양박태기나무는 유다가 이용한 나무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이 전설은 만물이 창조주를 배반하는 자의 행위에 연루되는 것에 대하여 탄식한다는 예로 아직도 기독교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There’s also a medieval legend about the Mediterranean Redbud, more commonly known as the Judas tree. The story goes that this tree once stood strong and tall, with beautiful blossoms as white as snow that bled red from shame after Judas chose this tree to hang from. It asked God to make it weaker so that no one could ever sin from its branches again. Present evidence shows that the Mediterranean Redbud was most likely not the tree that Judas used, but this story is still commonly used by Christians to exemplify how much creation mourned its association with the one who betrayed their Creator.


나는 유다를 두고 울었다. 나는 그를 절망으로 몰고 간 자책과 회한에 대해 생각해보았고, 그것이 참으로 가련하여 눈물을 흘렸다. 시몬 베드로 같은 사람보다는 가룟 유다에게 더 동질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베드로, 경쟁심이 강하고 성급한, 또 충동적이고 완고했던 사람. 베드로는 심히 교만하여 자신이 예수님을 부인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단언하였지만, 바로 얼마 있지 않아 세 번 부인하였다. 또한 베드로는 회한 가운데 비통하게 울었지만, 그는 자신을 그 회한 가운데서 끌고 나와 회개하고 예수님 앞에 다시 섰다. 나는 베드로가 부러웠다. 나는 베드로가 미웠다. 왜냐하면 우리가 다시 일어서는 것이 때로는 너무도 힘들기 때문이다. 때로는 슬픔의 안개가 너무 짙어 넘어 보지 못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자신의 죄를 지나치지 못하여 십자가를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I cried for Judas. I would wonder about the guilt and remorse that drove him to despair, how pitiful it all was, and I would weep. Judas seemed more relatable than someone like Simon Peter. Peter, who was competitive and hotheaded and impulsive and stubborn. Peter, who so proudly and vehemently declared the impossibility of denying Jesus, only to do so three times shortly after. Peter, who also wept bitterly in despair… but then dragged himself out of that despair and repented, and stood before Jesus once again. I envied Peter. I hated Peter. Because sometimes the faults seem to never stop. Sometimes it’s just too hard to pick yourself back up. Sometimes the haze of sadness is too thick to see through, and it blinds you from the love of God. Sometimes you can’t look past your own sin to see the cross.

때로는 유다나무가 아름답게 보인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생각을 나누는 것에 대해 수치스러워한다. 교회에 와서 열심히 봉사하고 성실히 말씀을 받는 사람일수록 유다나무 유혹에 대해 시인하는 것이 더욱 쉽지 않다. 그 수치심은 우리를 할 수 있는 게 없다거나 그 누구와도 이야기할 수 없다는 생각 안에 가두게 된다. 그것은 베드로와 같은 일을 달성할 수 없다고 고백하기를 부끄러워하는 이들의 마음 깊은 곳에서 자라나는 아주 작은 씨앗이다. 그 씨앗은 우리가 이곳과 어울리지 않으며 어울릴 자격이 없다며 우리를 설득시키고, 그 작은 씨앗은 우리가 외톨이라며 거짓말을 한다. 마음속에서 자라나는 그러한 잘못된 생각들은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얼마나 열심히 싸우시는지 알면서도 우리를 포기하게 만든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느낌이다.

Sometimes the Judas Tree just looks so beautiful. 
But we’re too ashamed to ever share those thoughts. So many of us come to church and work hard and diligently listen to the Word, which makes it more shameful to admit to the allure of the Judas Tree. That shame traps us into thinking that we can’t do anything or talk to anyone. It’s the smallest seed that grows in the deepest corners of the hearts of those too embarrassed to confess that they can’t pull a Peter. It convinces us that we don’t fit in, that we don’t deserve to fit in. It lies to us, telling us that we’re alone. It makes us give up, even when we’re aware how hard Jesus is fighting for us. It’s the most terrifying feeling in the world.


내가 얼마나 많은 이들을 유다나무로 몰아쳤을까. 나는 너무 많은 실수를 했고, 너무 많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었으며, 나의 추악함은 아름다운 마음들까지 조각내버렸다. 무감각해져 버리거나 절망감에 빠진 사람에게 ‘시스템에 적응할 수 없는 사람은 그곳에 설 자리도 없다’고 나는 말하고 싶지 않다. 누구든지 고립되었다는 느낌을 받아서는 안 된다. 그런데 내가 그 고립의 원인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만으로도 너무 고통스러워서 견딜 수가 없다. 참으로 죄송하다.

I wonder how many people that I myself have pushed closer to the Judas Tree. I’ve made so many mistakes, and I’ve hurt so many people. I’ve torn apart beautiful hearts because of the ugliness in mine. I don’t want to face someone who is so blind with either apathy or despair, and encourage the idea that if they can’t fit into the system, then they have no place in it. No one should ever feel isolated, and the thought that I could have been the cause of that isolation is too painful to bear. I am truly… so sorry.


나는 이런 나를 바꾸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고 있고,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완벽하게 거듭나기 위해서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다.

I’m trying so hard to change, and I’m slowly moving ahead, but waiting for me to perfect myself will take too long.

 
하나님, 어찌 되었든 제발 저를 사용하여 주세요. 저에게 허물이 있어도 당신께 영광 돌릴 수 있도록 해주세요. 누군가의 유다 나무에 저를 데려다주세요. 그 길을 걷기로 한 사람들이 있다면, 제가 그들을 위해 거기에 있을 수 있게요. 

So please, God, please use me anyway. Let me glorify You even through my faults. Please take me to someone’s Judas Tree, so that should they choose to walk that path, I can be there for them.

당신께서 저를 위해 그렇게 많은 사람을 보냈던 것처럼 말이에요. 

Just like how You sent so many others for me. 


왜냐하면 저는 나뭇가지가 부러지고 밧줄이 끊긴 것과 흰 꽃이 핏빛으로 물든 것, 나무가 시들어버린 이유를 유다가 은전 30으로 당신을 배신했다는 수치스러움 때문에 일어났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당신을 팔아버린 유다가 당신에게 돌아가지 않았다는 사실, 그 최후의 배신에 대하여 만물이 탄식했기 때문에 그런 일이 일어났다고 믿어요. 부디, 제가 당신의 도구가 될 수 있게 해주세요. 혼자 기도하는 것이 어려운 이들에게, 베드로처럼 당신께 돌아가는 일이 어려운 이들에게, 진정한 교회 친구가 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Because I don’t believe that the branch snapped, or the rope tore, or the white blossoms bled, or the tree weakened, all because of the shame of Judas betraying You with 30 pieces of silver. I believe it happened because they mourned the fact that after betraying You, he chose to not turn back to You… the ultimate betrayal. So please, may I be Your tool, for those who find it too difficult to pray alone and turn back to You on their own like Peter. May I be a true church friend.


"친구야, 여기로 오기까지 힘들었다는 거 알아. 그리고 돌아가는 게 불가능해 보일지도 몰라. 하지만 내 손을 잡고 같이 걷자. 삶이 힘들다고? 글쎄, 그건 맞는 것 같아. 더 이상 싸울 기운이 없다고 말하는 거니? 자신을 증오한다고? 다른 사람들을 싫어한다고? 자신이 끔찍한 사람이고 다른 방법은 없다고? 내가 절대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그래, 그럴 수도 있겠지. 하지만 그거 아니? 완전히 다른 나무가 저기에 있어. 그리고 그 나무에 매달린 사람이 있지. 그분은 네가 매달리지 않아도 되도록 그곳에 대신 계셔. 그리고 그분은 너를 이해하기 때문에 그곳에 있고, 너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알고 여전히 너를 사랑해. 그분은 지금 너를 기다리고 있어. 네가 여기 있으면 그분이 슬플 거야. 그러니 어서 가자. 너는 너의 모든 허물을, 나도 나의 모든 허물을 가지고 함께 걷자. 우리 더 나은 사람이 되고, 함께 치유 받자. 자, 유다나무를 놔줘. 예수님의 나무가 훨씬 더 아름답잖아."


“Hey buddy, I know it was hard getting here, and maybe the journey back seems impossible, but hold my hand and let’s walk together. What’s that? Life is hard? Well, you’re not wrong there… hmm? You’re saying you don’t have the energy to fight anymore? That you hate yourself? That you hate others? That you’re a terrible person? That there is no other way? That I will never understand? Yeah… maybe you’re right. But you know what? There’s a different tree some ways off, and there is a Man hanging from that tree so that you don’t have to hang here. And He’s there because He understands you. He knows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you and He still loves you. He’s waiting for you now. He’ll be sad if you stay here. So let’s go, you in all your terribleness, and me in all mine. Let’s walk together and be terrible together. Let’s improve together and heal together. Come on, let go of your Judas Tree. The Jesus Tree is much more beautiful anyway.



박안나-에세이소개.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1

[참평안_에세이] 가정예배로 인생의 발을 모으신 아빠를 기억하며

가정예배로 인생의 발을 모으신 아빠를 기억하며 “야! 가정예배 드리면 가정 살아나는데 왜 안 드려!!!” 원로 목사님의 말씀 한마디에 그해 너무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던 우리 가정은 ‘그래, 시작해 보자’ 다짐하고 가정예배를 드리기 시작했...

 
180

[참평안_인터뷰] 극소수의 사람들 - 류선영 미(美) 육군 중령의 대령 진급식

극소수의 사람들 류선영 미(美) 육군 중령의 대령 진급식 48만 명 중 3,000명, 0.6%. 현재 미국 육군 중 대령의 숫자이다. 이 중에서 여군에, 아시아계의 숫자로는 50명이 못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략 10,000분의 1이다. 한국계는 남녀 통틀어 현...

 
179

[참평안_인터뷰] 신앙의 시작점에서 다시 찾은 비전과 사명

신앙의 시작점에서 다시 찾은 비전과 사명 고등부 교사가 된 이유 : 손명호 교사 안녕하세요. 고등부 한소리를 졸업한지 7년 만에 다시 돌아와 올해로 5년째 고등부 교사로 봉사하고있는 손명호 입니다. 현재는 한소리 1학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봉사...

 
178

[참평안_인터뷰] 언제까지 자기 십자가를 지지 않을 것인가? - 강희승 신임 전도사 이야기

언제까지 자기 십자가를 지지 않을 것인가? 강희승 신임 전도사 이야기 2025년도 교육 전도사로 새롭게 임명된 강희승 전도사는 청년 1부 <헵시바 선교회>와 청년2부 <그루터기 선교회>에서 회장을 지냈고 2020~2024년 중등부 교사로 봉사해 왔습니다. ...

 
177

[참평안_인터뷰] ‘실패 속에서 발견한 겸손의 첫 걸음’ 멈추지 않기를… - 2025년 신입 전도사 ‘백은석’ 인터뷰

‘실패 속에서 발견한 겸손의 첫 걸음’ 멈추지 않기를… 2025년 신입 전도사 ‘백은석’ 인터뷰 ‘누가 이런 시대에 새로운 교역자로 서겠는가?’ 혼란이 지속되고 날로 각박해져 가는 시대를 살면서 교회 전반에 깔린 정서 가운데 하나가 아닐는지. 그러나 ...

 
176

[참평안_에세이] 기도문

기도문 어느 청각 장애인이 인공와우 수술 후 70년 만에 소리를 듣게 되었다는 스토리의 영상을 시청했다. 수술 후 ‘소리’라는 음은 들을 수 있지만 그 언어를 이해하는 데까지 1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하철에서 성경책을 열독하는 어느 분...

 
175

[참평안_에세이]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아버지 - 인도네시아 성도들의 평강 연수원 투어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아버지 인도네시아 성도들의 평강 연수원 투어 여느 때와 같이 주일 2부 예배를 드리러 모리아 성전에 들어가려던 참이었다. 누군가 나의 어깨를 가볍게 툭 쳤다. 뒤돌아보니 유근영 전도사님께서 나를 부...

 
174

[참평안_인터뷰] ‘엄마와 딸이 함께 한 신앙 전투사’ - 엄마 정경선 권사의 81년, 신앙의 동지 외동딸 최현 권사의 55년 이야기

‘엄마와 딸이 함께 한 신앙 전투사’ 엄마 정경선 권사의 81년, 신앙의 동지 외동딸 최현 권사의 55년 이야기 말씀을 처음 만난 때 친정 엄마 정경선 권사의 고향은 전남 강진입니다. 친정 오빠의 잦은 사업 실패로 가세가 기울자 외조모께서 전북 이...

 
173

[참평안_에세이]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시는 하나님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시는 하나님 대학교 졸업 후 입대해 올해로 13년째 군(軍) 복무 중입니다. 부대 내 사고 예방, 수사, 군 기강 확립 활동, 특수임무대 운용 등의 역할을 하는 군사경찰(Military Police), 옛날로는 헌병(憲兵)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

 
172

[참평안_인터뷰] 부산 은혜교회 성도들의 여주 하계 대성회

부산 은혜교회 성도들의 여주 하계 대성회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평강 성도들의 ‘초막절’인 2023년 하계 대성회. 국내와 해외의 형제교회 성도들이 여주 평강제일연수원에 모인 가운데, 부산 은혜교회(담임 유화창 목사)에서는 출석인원 200여 명의 성도 중 ...

 
171

[참평안_인터뷰] “구속사 말씀에 대한 사랑이 더 커졌습니다” - 필리핀에서 온 허버트 루자노(P.Herbert Luzano) 목사, 마닐라 BTS교회(Brethrens & the Saints Church)

“구속사 말씀에 대한 사랑이 더 커졌습니다” 필리핀에서 온 허버트 루자노(P.Herbert Luzano) 목사 마닐라 BTS교회(Brethrens & the Saints Church)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저는 미국 조지아 횃불언약교회(담임 에릭 버튼 목사)에서 매주 금요일...

 
170

[참평안_인터뷰] 내 인생의 마지막 공부, 구속사 - 김미경 부산하늘문교회 사모師母

제 인생에 있어서 하나님의 깊은 사랑을 깨닫는 전환점이 찾아온 것은 남편(장민석 목사)이 구속사 시리즈 제6권「맹세 언약의 영원한 대제사장」 출판기념 예배에 다녀온 후의 일이었습니다. 가까이는 남편의 자형이신 류남철 목사님(부산 세계로교회)의 ...

 
169

[참평안_인터뷰] 류선(Ryu Sun) 주한미군 중령의 신앙과 삶 file

나는 박 아브라함 목사님이 뿌리신 씨앗의 열매일 뿐입니다. 류선 주한미군 중령의 신앙과 삶 최근 조선일보와 국방일보 등 국내 언론들과 미 육군 홈페이지에 한 미군 중령의 스토리가 잇따라 대대적으로 소개됐다. 한국계 주한미군인 류선(Ryu Sun) 중령이다...

 
168

[참평안_인터뷰] 해외 성도들의 연수원 투어 file

해외 성도들의 연수원 투어 3년 만에 여주 평강제일연수원에서 하계대성회가 개최되었다. 코로나로 인해 막혀있던 하늘길을 뚫고 미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4개 국가에서 총 39명의 해외 성도와 교역자가 평강제일교회와 여주 평강제일연수...

 
167

[참평안 인터뷰] 내 연기의 힘은 신앙에서 나온다_‘대세 배우’ 최영준 file

내 연기의 힘은 신앙에서 나온다 ‘대세 배우’ 최영준 최영준은 방송가의 대세 배우다. 메가 히트 드라마인 ‘슬기로운 의사생활’, ‘빈센조’에 잇따라 출연해 깊은 인상을 남겼고, 장안의 화제였던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혼전 임신을 한 고등학생 딸을 둔 아...

 
166

[평강인터뷰]참평안_나라를 위한 나의 기도는? file

나라를 위한 나의 기도는? 평강제일교회는 설립자인 휘선 박윤식 목사의 가르침에 따라 수십 년 동안 목요 구국(救國)예배를 드리고, 모든 공적 예배에서는 나라와 민족을 첫 번째 기도 제목으로 삼고 기도하는 교회다. 나라 사랑의 달 6월을 맞아 “부름 받은 ...

 
165

[참평안_에세이] “뭐든지 붙이는 손이 되게 해 주세요” _신상례 권사 file

“뭐든지 붙이는 손이 되게 해 주세요” 신상례 권사 2017년 1월 즈음 교회 마르다 식당에서 일하는 중이었어요. 된장, 간장을 담그려고 그동안 안 쓰고 있었던 빈 항아리들을 닦고 있었죠. 수돗물을 틀어놨는데 누가 방향을 틀다가 호스를 놓친 거예요. 갑자...

 
164

[참평안_에세이] ‘참 평강의 어르신’ 안성억 목사님_고재분 전도사 file

‘참 평강의 어르신’ 안성억 목사님 _고재분 전도사_ 안성억 목사님은 1976년에 평강제일교회에 등록하셨고 이후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에 나는 그분을 뵐 때마다 그리고 소천하신 그분의 모습을 떠올려 보는 지금도, 언제나 ‘평강’이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

 
163

[참평안_인터뷰] 휘선을 기념하는 사람들(6) file

휘선暉宣을 기념하는 사람들 박중광 장로 #수문장 #대통령_경호관 #진짜_사나이 #이는_닦고_왔니 #복장_검열관 2021년은 평강제일교회 설립자이자 구속사 시리즈 저자인 휘선(暉宣) 박윤식 목사님의 천국 입성 7주년이다. ‘참평안’은 자신의 삶으로 휘선을 ...

 
162

[참평안_인터뷰] “구속사 시리즈 전파는 하나님이 주신 사명”_게리 챔벌린 국제 CLC 신임 대표 file

“구속사 시리즈 전파는 하나님이 주신 사명” 게리 챔벌린 국제 CLC 신임 대표 세계적인 기독교 도서 출판, 보급 기구인 기독교문서선교회(Christian Literature Crusade, 이하 ‘CLC’)의 신임 국제 대표로 게리 챔벌린(Gary Chamberlin)이 지난 10월 29일 선...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