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등록일

2016.09.26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MV6SQSVuwBf7adQuyQJGQ6LUvRsV.jpg



모든 물건은 만들어져 포장을 뜯는 순간 값어치가 떨어지게 마련이다. 이른바 중고품이 되어 ‘감가상각’이 진행된다.  백화점에 진열된 처음 제품이 100만원이라면, 계절이 가도 팔리지 않은 옷은 다음 2차 시장인 마트나 할인점에서 40~50%로 할인된 가격에 팔리고, 마지막엔 폐기처분 되거나 무게로 달아 헐값에 처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것은 가장 최근에 나온 제품이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최신 제품이야말로 가장 비싸고 가장 좋은 것이 된다. 돈에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그래서 비싼 값을 지불하고서라도 최신 제품을 구매하여 자랑을 하고, 실속 있는 사람들이나 돈에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2차, 3차 시장에 가서 싼 가격에 유행이 지난 제품을 구매한다. 유행이 지났다는 것은 그 제품이 만들어지고 시간이 많이 흘러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세히 관찰해 보면 시간이 흐름을 역행하여 값이 매겨지는 것들이 있다. 부동산 관련 뉴스에서 단골로 등장하듯, 소위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는 오래되고 낡을수록 값이 올라간다. 이는 재건축 이후 얻게 될 기대수익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애매하게 10년, 20년 된 아파트보다 30년 넘어 재건축이 가능한 아파트가 오래되고 낡았지만 오히려 비싼 값에 팔리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골동품’의 경우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우표를 수집하는 사람은 천 원, 만 원짜리 우표를 구매하지만, 이것이 시간이 흘러 오래되면 될수록 액면가 이상의 대접을 받게 된다. 소장하고 있는 물건이 시간이 아주 오래되어 ‘희소성’을 갖게 되거나 과거 역사를 설명하는 증거물이 될 때, 심지어 ‘보물’ 대접을 받기도 한다.  

 사람의 경우는 좀 더 특별한 케이스다. 물건과 달리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성장한다. 그러므로 그 가치가 상승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정점에 이르면 신체적으로, 사회적으로 점점 가치가 떨어진다는 사실은 결코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사람에겐 예외가 있다.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충실히 살아갈 때, 그 사람의 발자취는 시간이 가도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준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 은퇴하고, 이 세상을 작별해도 ‘역사’라는 시간의 무대에서 결코 사라지는 법이 없다. 후대 사람들에 의해 끊임없이 초청되어 시간을 뛰어넘는 교제와 만남이 이루어진다.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10일까지, 베리트 신학대학원에서 주최한 소아시아 지역 성지 답사를 다녀왔다. 터키의 성 소피아 성당이나 에베소와 같은 고대 도시 터. 그리스에서 만난 고린도, 빌립보 등의 도시, 그리고 로마를 답사하면서 맞닥뜨린 것은 엄청난 시간의 가치였다. 로마 시대 5만 명을 수용할 수 있었던 콜로세움의 위용과 성 베드로 성당과 그 안에 있는 수많은 그림과 조각품들. 모두가 2천 년 가까운 세월을 견뎌낸 위대한 용사들이었다. 제아무리 최신 시설과 첨단 제품들이 편리하고 값어치가 있다 해도 천 년, 2천 년의 시간을 견뎌낸 위대한 용사들 앞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다.
 
 ‘빨리빨리’ 문화 속에서 속도감 있게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을 당연시하는 나라에서 시간이 멈춰 서서 2천 년의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유적들을 볼 때마다 머리칼이 쭈뼛해지는 전율을 느꼈다.

 오래된 것은 낡은 것이지만, 아주 오래된 것은 가장 값진 것이라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 ‘시간’이라고 하는 연단을 통과한 것들이 갖는 아주 값비싼 값어치. 그것은 역사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자기의 자화상이기도 하고 미래를 예견하는 교훈이기도 하다. 하나님의 구속사는 시간이라는 장벽을 뚫고 일관된 역사의 물줄기를 만들어 온 믿음의 사람들을 통해 이어져온 것이다. 잠깐 발을 들여놨다 빼는 것은 이 거대한 시간의 물결 속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한번 시작하면 끝장을 보고, 다음 세대에 바통을 넘겨줄 때 이곳에서 저곳으로, 나에게서 다른 사람으로 이어지며 시간은 역사가 된다. 그 역사 속에 하나님의 뜻과 섭리가 담길 때 구원의 역사가 되는 것이다.

 사람에게 가장 어려운 시험은 ‘시간’을 통과하는 것이다. 순간은 내 꾀로 어떻게 모면해볼 수 있지만 역사의 큰 흐름은 내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오랜 시간이 흘러도 진실된 사람, 역사 속에서도 빛나는 별처럼 아름다운 열매를 맺은 사람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사람이다.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WyhValbf3RQkohG478CW3F66bprU.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1

[참평안_에세이] 기도문

기도문 어느 청각 장애인이 인공와우 수술 후 70년 만에 소리를 듣게 되었다는 스토리의 영상을 시청했다. 수술 후 ‘소리’라는 음은 들을 수 있지만 그 언어를 이해하는 데까지 1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하철에서 성경책을 열독하는 어느 분...

 
180

[참평안_인터뷰] ‘실패 속에서 발견한 겸손의 첫 걸음’ 멈추지 않기를… - 2025년 신입 전도사 ‘백은석’ 인터뷰

‘실패 속에서 발견한 겸손의 첫 걸음’ 멈추지 않기를… 2025년 신입 전도사 ‘백은석’ 인터뷰 ‘누가 이런 시대에 새로운 교역자로 서겠는가?’ 혼란이 지속되고 날로 각박해져 가는 시대를 살면서 교회 전반에 깔린 정서 가운데 하나가 아닐는지. 그러나 ...

 
179

[참평안_인터뷰] 언제까지 자기 십자가를 지지 않을 것인가? - 강희승 신임 전도사 이야기

언제까지 자기 십자가를 지지 않을 것인가? 강희승 신임 전도사 이야기 2025년도 교육 전도사로 새롭게 임명된 강희승 전도사는 청년 1부 <헵시바 선교회>와 청년2부 <그루터기 선교회>에서 회장을 지냈고 2020~2024년 중등부 교사로 봉사해 왔습니다. ...

 
178

[참평안_인터뷰] 신앙의 시작점에서 다시 찾은 비전과 사명

신앙의 시작점에서 다시 찾은 비전과 사명 고등부 교사가 된 이유 : 손명호 교사 안녕하세요. 고등부 한소리를 졸업한지 7년 만에 다시 돌아와 올해로 5년째 고등부 교사로 봉사하고있는 손명호 입니다. 현재는 한소리 1학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봉사...

 
177

[참평안_인터뷰] 극소수의 사람들 - 류선영 미(美) 육군 중령의 대령 진급식

극소수의 사람들 류선영 미(美) 육군 중령의 대령 진급식 48만 명 중 3,000명, 0.6%. 현재 미국 육군 중 대령의 숫자이다. 이 중에서 여군에, 아시아계의 숫자로는 50명이 못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략 10,000분의 1이다. 한국계는 남녀 통틀어 현...

 
176

[참평안_에세이] 가정예배로 인생의 발을 모으신 아빠를 기억하며

가정예배로 인생의 발을 모으신 아빠를 기억하며 “야! 가정예배 드리면 가정 살아나는데 왜 안 드려!!!” 원로 목사님의 말씀 한마디에 그해 너무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던 우리 가정은 ‘그래, 시작해 보자’ 다짐하고 가정예배를 드리기 시작했...

 
175

[참평안_인터뷰] “구속사 말씀에 대한 사랑이 더 커졌습니다” - 필리핀에서 온 허버트 루자노(P.Herbert Luzano) 목사, 마닐라 BTS교회(Brethrens & the Saints Church)

“구속사 말씀에 대한 사랑이 더 커졌습니다” 필리핀에서 온 허버트 루자노(P.Herbert Luzano) 목사 마닐라 BTS교회(Brethrens & the Saints Church)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저는 미국 조지아 횃불언약교회(담임 에릭 버튼 목사)에서 매주 금요일...

 
174

[참평안_인터뷰] 내 인생의 마지막 공부, 구속사 - 김미경 부산하늘문교회 사모師母

제 인생에 있어서 하나님의 깊은 사랑을 깨닫는 전환점이 찾아온 것은 남편(장민석 목사)이 구속사 시리즈 제6권「맹세 언약의 영원한 대제사장」 출판기념 예배에 다녀온 후의 일이었습니다. 가까이는 남편의 자형이신 류남철 목사님(부산 세계로교회)의 ...

 
173

[참평안_인터뷰] 부산 은혜교회 성도들의 여주 하계 대성회

부산 은혜교회 성도들의 여주 하계 대성회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평강 성도들의 ‘초막절’인 2023년 하계 대성회. 국내와 해외의 형제교회 성도들이 여주 평강제일연수원에 모인 가운데, 부산 은혜교회(담임 유화창 목사)에서는 출석인원 200여 명의 성도 중 ...

 
172

[참평안_에세이]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아버지 - 인도네시아 성도들의 평강 연수원 투어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으시는 아버지 인도네시아 성도들의 평강 연수원 투어 여느 때와 같이 주일 2부 예배를 드리러 모리아 성전에 들어가려던 참이었다. 누군가 나의 어깨를 가볍게 툭 쳤다. 뒤돌아보니 유근영 전도사님께서 나를 부...

 
171

[참평안_인터뷰] ‘엄마와 딸이 함께 한 신앙 전투사’ - 엄마 정경선 권사의 81년, 신앙의 동지 외동딸 최현 권사의 55년 이야기

‘엄마와 딸이 함께 한 신앙 전투사’ 엄마 정경선 권사의 81년, 신앙의 동지 외동딸 최현 권사의 55년 이야기 말씀을 처음 만난 때 친정 엄마 정경선 권사의 고향은 전남 강진입니다. 친정 오빠의 잦은 사업 실패로 가세가 기울자 외조모께서 전북 이...

 
170

[참평안_에세이]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시는 하나님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시는 하나님 대학교 졸업 후 입대해 올해로 13년째 군(軍) 복무 중입니다. 부대 내 사고 예방, 수사, 군 기강 확립 활동, 특수임무대 운용 등의 역할을 하는 군사경찰(Military Police), 옛날로는 헌병(憲兵)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

 
169

#99.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_ 박승현 file

‘많아지면 달라진다’의 저자 클레이 셔키(Clay Shirky)의 말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연결된 전 세계 20억 명의 여가 시간을 합치면 약 1조 시간에 달한다고 한다. 예전에는 이 시간의 대부분을 TV를 시청하는데 낭비하였지만, 인터넷과 S...

 
168

#94. 그래도, 희망! _ 홍미례 file

2016년이 떠납니다. 2016년은 이제 돌아오지 않습니다. 더불어 2016년 모든 시간은 2017년의 뒤로 숨습니다. 그렇다 해도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는 필연적으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과거는 오늘의 자화상...

 
167

#101. 시작이라는 선물 _ 서재원 file

어느덧 2017년 1월이 모두 지나고 2월의 중간에 도착했습니다. 2017년, 어떤 시작을 하셨나요? 저는 지금까지 해왔던 생각을 뒤집었습니다. 어느덧 20대가 되어 처음 보낸 지난 2016년, 그 모든 아쉬움을 뒤로하고 새로운 도전을 하려 합니다. 돌아보니 2016...

 
166

#105. 고3과 학부모를 위한 조언 _ 이원재 file

3월은 피곤한 달이다. 해마다 새 학년이 시작되고 새로운 얼굴들을 보며 새로운 이름을 외워가며 그 아이들의 많은 것을 파악하려고 애쓰느라 시간에 쫓긴다. 보름이 지나도록 이름이 낯선 아이들, 그 티라도 내면 마음에 상처 입을까봐 수시로 사진을 ...

 
165

#130. 바라봄의 기쁨 _ 서재원 file

우리는 살아가면서 눈을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습니다. 화려함, 때로는 소박함, 그리고 보는 것으로 느끼는 수많은 감정들이 있습니다. 이처럼 눈은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기관 중 하나 입니다. 하루라도 눈을 뜰 수 없다...

 
164

#106. 무엇이 다른가에 대한 고찰 _ 강명선 file

본격적인 신앙생활을 한지 만 10년이 되었다. 이 본격적인이란 말은 교회에 나와서 성경을 공부하고 교회의 기관에 등록하여 봉사하면서 정기적인 주일성수와 십일조를 드린 신앙생활의 기간이며...

 
163

#136. 내가 여기에 서있는 이유 _ 하찬영 file

지난 추석 연휴 기간, 우연히 저는 ‘위플래시’라는 영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개봉 전부터 관심을 가졌던 작품이라 틀어놓고 있다가 결국에는 끝까지 보고야 말았습니다. 시간이 좀 지난 지금 뚜렷이 기억나지는 않지만(아무래도 이제는 그...

 
162

#122. 학교에서 배운 한 가지 _ 하찬영 file

그랬던 것이다. 그는 디자인을 전공했고 소위 말하는 미대 다닌 남자였다(이대 아니고 미대라고 그는 또 아재개그를 날렸다). 그는 그런 그의 타이틀이 나름 있어보인다며 은근히 만족해 왔는데 언제부터인가 자신의 디자인 전공에 대해 웬만하면 말하지 않으...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