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pkblog_body_15.jpg


건강식품 유통업을 하는 지인을 만났는데 평소와 달리 얼굴이 그리 밝지 않았다.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업계가 비상이라고 한다. 5월은 어버이 날, 스승의 날이 있어 통상 일 년 중 건강식품의 판매가 가장 활발해야 하는 시점인데 사건의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짐에 따라 TV 홈쇼핑은 건강식품의 방송 편성을 줄였고 소비자의 불신이 백수오를 넘어 다른 건강식품으로 번지는 조짐까지 나타나면서  5월 특수는커녕 오뉴월 한파를 걱정해야 할 형국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다이어트 제품 만은 꾸준한 판매를 이어 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히트 상품으로 등극한 한 제품의 경우 이번 시즌에만 수백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한다. 이론대로라면 적지 않은 금액을 지불하고 이 제품을 구입한 수많은 소비자들은 지금쯤 많이 날씬해져 있을 것이다. 그런데 과연 현실은 어떨까?

다이어트 제품은 건강식품 중에서 효능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기대치가 높은 만큼 실망도 클 터인데 매년 꾸준한 판매를 이어가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상식적으로 이해가 잘 되지 않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다이어트 제품을 구매하는 배경에는 ‘미워도 다시 한번’이란 소비 심리가 깔려있다고 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구매하여 역시나 실망하더라도 그다음 해에 작년과는 다른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면 “그래, 이번에는 혹시나”하는 막연한 기대감에 지갑을 다시 여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나는 이런 제품만으로 다이어트에 성공했다는 사람을 실제로 만나보지 못한 것 같다.

다이어트를 시작하는 목적과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나는 삼십 대 중반부터 계속 먹어온 혈압약을 끊어보겠다는 목적으로 2년 전 식이요법과 운동을 시작했다. 다행히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결과 하루 두 알씩 먹던 약은 한 알로 줄일 수 있었고 그나마 남은 한 알마저도 완전히 끊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으로 요즘도 틈틈이 헬스장을 찾는다.

처음 트레이너와 상담을 한 자리에서 건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음식과 헬스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좋은지를 물었는데 예상 밖의 답변을 들었던 기억이 난다. “몸에 좋은 것을 잘 챙겨 드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먼저 몸에 해로운 음식을 끊어야 합니다” 면서 내가 주로 먹는 음식들을 모두 적어보라고 했다. 그 리스트에서 되도록 피해야 할 음식들을 지적해 주었는데, 이를 통해 내 식단이 그리 건강한 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처음에는 쉽지 않았지만 트레이너가 권장한 건강한 식단을 지금도 최대한 따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젠 어느 정도 익숙해지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결과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유지할 생각이다.

2060151874_52iHw6Oe_ti178d0415.jpg


그런 면에서 우리의 영적 식단은 얼마나 건강한지 식단을 짜듯이 꼼꼼히 점검해 보았으면 한다. 성경과 구속사 말씀을 일용한 양식으로써 얼마나 충분히 그리고 규칙적으로 취하고 있는지, 혹시나 영적 건강에 유해한 세속적인 것들은 잘 통제되고 있는지 말이다. 막연하게 생각하는 것과 실제 식단을 짜듯이 적어 내려가는 것은 분명 큰 차이가 있다. 나 역시도 영적 식단이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부실하고 균형이 어긋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조금은 부끄러운 고백을 하면서 글을 마치려고 한다. 중고등학교 때를 회상해 보면 침대 머리맡에는 항상 성경책이 있었다. 졸음을 참으며 성경책을 읽다 보니 중고등학생 시절 같은 구절을 여러 번 읽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한데, 어느새 그 자리에는 성경책 대신 스마트폰이 놓여 있다.

일단 이것부터 치우는 것을 시작으로 식단을 다시 짜야겠다.


55d3d23dc335c6ea335ee317b0686786.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1

#142. 워라밸(Work & Life Balance) _ 박승현 file

해마다 이맘 때면 지난 한 해를 돌아보거나 다가올 새해를 내다보는 다양한 단어가 등장한다. 올 해 ‘욜로(YOLO, You Only Life Once)’가 미디어에 꾸준히 등장했다면, 2018년 트렌드 전망에는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있다. 일과 삶의 균형...

 
60

#96. 유난스런 고민 끝내고 오로지 전진만 _ 정유진 file

처음 무언가를 시작할 때면 항상 두려움 반 설렘 반입니다. ‘처음’이라는 그 공간만큼 무한한 가능성이 압축된 곳이 또 있을까싶습니다. 시작할 때의 포부와 앞날을 기대하는 마음, 잘 해보겠다는 다짐과 단단한 의지가 담긴 초심만으로 훗날 ...

 
59

#76. 오보 _ 김진영 file

올해는 지난해보다도 더 심한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민들이 하루하루 지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합리한 부분이 있는 현행 전기 요금 누진제 때문에 폭염 속에서도 에어컨도 제대로 켜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에어컨을 하루 ...

 
58

#144. +1_ 홍명진 file

1을 더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노력과 수고가 필요한 일이다. 단순히 수 계산에서의 1을 더하는 것 말고도 어제에서 오늘로 넘어오려면 24시간이 필요하고, 1월에서 2월로 넘어가려면 30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하고,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오는데도 12...

 
57

#34. D-30! 이제 겨우 남은 30일 _ 송현석 file

한국의 독특한 교육열과 입시문화, 개인적으로 참 마음에 들지 않는 속성들이지만, 한편으로는 천국 입시의 아주 확실한 샘플이기도 하다. 강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를 더욱 확실히 느낄 수 있으니, 이 글을 작성하는 '수능 D-30'의 시점에서 이에 대해 ...

 
56

#35. 가치 _ 홍미례 file

현세는 그야말로 교환가치의 시대입니다. 내가 소유하거나 내가 관계를 맺으려는 물건 혹은 사람이 얼마만 한 교환가치가 있느냐에 관심이 집중되지요. 가치를 재는 척도가 그만큼 피상적이고 계산적이며 이기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를테면 ...

 
55

#93. 마감하는 인생 _ 강명선 file

 ‘한 해를 멋지게 마무리하는 방법’이라고 근사하게 2016년의 마지막 평강 에세이를 이만 총총 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었다. 그런데 보아하니 지금 나는 또 마감에 몰려있다. 매번 밀리는 싸움이다. 때론 넉넉히 이기고 싶은데 늘 내가 수세에 몰...

 
54

#79. Hold me, Mold me, Make me, Fill me _ 원재웅 file

Hold me, Mold me, Make me, Fill me 아주 오래전 우리 집 거실 장식장에 조그만 사기그릇이 하나 있었다. 도자기라고 하기에는 그 모양이 현대적이었다고나 할까. 요즘 벤티 사이즈의 머그잔과 비슷한 형태의 그릇이었다. 보통 도자기에 글이나 그림이...

 
53

#36. 바벨 _ 최주영 file

대화를 하다 보면 간혹 상대방이 어떤 의중인지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느낌으로도 모르겠고, 제스처로도 파악이 안되고, 말로 표현하다 보면 더욱더 아련해집니다. 이는 대화하는 상대방도 매한가지입니다. 아무리 자세히 일러주어도 ...

 
52

#115. 우리 인생엔 지름길이 없다 _ 김영호 file

2017년 전도 축제가 5월 14일과 21일 양일간에 진행되었습니다. 바둑에는 복기란 말이 있습니다. 복기는 한 번 두고 난 바둑을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둑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

 
51

#129.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향기 _ 김영호 file

어느 날 길을 걷다가 익숙한 향기를 맡았습니다.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옛날 시골집의 향기였습니다. 초등학교 방학 때 할머니가 계신 시골에 내려가서 한 달 내내 살았던 기억이 납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빌라와 ...

 
»

#15. 신앙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있는 식단 _ 김태훈 file

건강식품 유통업을 하는 지인을 만났는데 평소와 달리 얼굴이 그리 밝지 않았다.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업계가 비상이라고 한다. 5월은 어버이 날, 스승의 날이 있어 통상 일 년 중 건강식품의 판매가 가장 활발해야 하는 시점인데 사건의 파장이 걷잡을 수...

 
49

#72. 수련회의 추억 _ 박승현 file

요즘은 놀 거리, 볼거리가 많아졌지만, 80년대만 하더라도 수련회(성경학교)는 일 년 내내 기다리는 행사 중 하나였다. “즐거운 여름학교, 하나님의 집~ 아~아~아 진리의 성경 말씀, 배우러 가자“를 외치며 말죽거리(지금의 양재)에서 78-1번 ...

 
48

#41. 먹다 _ 원재웅 file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직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최근 우리의 관심은 '배불리' 먹는 게 아니다. 맛있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자랑거리가 되었다. 각종 SNS에 올...

 
47

#86. 에노스, 너무나 에노스적인 _ 하찬영 file

‘그렇다고 그가 수천억 대의 자산가가 되고 싶어 하거나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꿀 혁명적인 무엇을 바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그렇게 돈에 눈이 먼 탐욕스런 인간은 아니며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고자 하는 위대한 혁명가는 더더욱 아니다. 이래저...

 
46

#55. 십자가를 생각하며 _ 김형주 file

고난주간 속에는 예수님의 33년 전 생애가 함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생을 약속받는 확실한 증거가 예수님의 부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당하신 예수님의 고난과 아픔, 죄악된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측량하기 ...

 
45

#40. 당신 생각 _ 강명선 file

당신 생각 가을에는 커피가 더 맛있어진다. 따듯한 커피를 마실 때 그 진향 향기도 함께 마시게 되어 커피의 맛을 두 배로 누리는 기분이다. 여름에 마시는 아이스커피는 목과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는 대신 그 향기는 사라진다. 나름 커피 애호가인 나는 오...

 
44

#112. 내 인생의 사물 _ 김신웅 file

어느 포근한 토요일 점심 무렵, FM 라디오를 – 채널 주파수는 104.5MHz – 들으며 교회에 가던 중이었다. 봄 개편을 맞아 새롭게 시작한 프로그램, 개그우먼 박지선 씨가 진행하는 ‘사물의 재발견’이 흘러나왔다. 이 날 코너에서는 여러 청취...

 
43

#116. 기회 _ 서재원 file

어느덧 우리는 2017년이라는 층의 중앙 지점에 도착했습니다. 처음 우리가 2017년을 만났을 때 세웠던 계획들과 수많은 목표들에 얼마나 다가가고 있으신가요? 아직도 계획만, 혹은 포기한 것들이 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수많은 계획...

 
42

#29. 여름의 당부 _ 강명선 file

녀석을 발견한 것은 교회 에담 식당 앞 주차장 부근이었다. 감나무 아래를 지나는데 너무나 멀쩡한 모습으로 땅바닥에 굴러떨어져 있던 그 녀석. 그 작고 앙증맞은 녀석을 그냥 두고 갈 수 없어 발걸음을 멈췄다. 자기가 어떤 상황에 처했는지 모르는 그 철...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