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강에세이

HOME > 평강미디어 > 평강에세이
글 수 175
등록일

2015.12.05

pkblog_body_41.jpg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직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최근 우리의 관심은 '배불리' 먹는 게 아니다. 맛있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자랑거리가 되었다. 각종 SNS에 올라오는 사진들을 보면 음식 사진이 유난히 많다. 멋진 곳에서 특별한 음식을 먹는 행위는 이미 자랑거리가 된지 오래다. 유명한 연예인을 스타라고 부른다. 요즘은 잘 나가는 운동선수를 스타플레이어라고 하고 잘 나가는 요리사를 스타 셰프라 한다. 맛집을 소개하거나 요리 방법을 배우는 데 그치지 않는다. 요리사가 나와서 대결을 벌이기도 하고 정글에서 요리하고 숲 속에서 요리하고 바닷가에서 요리하는 TV 프로그램이 어느덧 홍수를 이루고 있다. 

필자도 먹는 거 정말 좋아한다. 지갑 속에 꿍쳐둔 비상금같이 가끔 들러서 맛을 음미하던 단골 식당도 있다. 하지만 이런 곳이 TV에 소개되고 두 시간을 줄을 서야 맛을 볼 수 있는 대박집으로 변한 이후 그 깊은 맛을 잃어버리는 안타까움을 겪어보니 생각이 달라진다. 언제쯤 이 먹방의 쓰나미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는 정말 잘 먹고 있을까요?" '먹다'라는 단어를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잘 먹는다'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찾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음식을 먹다.
'음식이나 물 따위를 입을 통하여 배 속에 들여보내다.' 국어사전의 정의다. 먹는다는 것은 들여보내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인풋(input) 즉 들어가는 게 있으면 아웃풋(output) 곧 나오는 것도 있기 마련이다. 잘 먹으면 잘 배출해야 한다. 먹는 것으로 인해 탈이 나면 안 먹느니만 못하게 된다. 먹는 것만 자랑할 것이 아니라 내보는 것까지 안전하게 이루어질 때 비로소 자랑거리가 되는 것 아니겠는가. 화려한 먹는 행위에 이어지는 건강한 배출 행위까지 돌아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먹는 건 비단 음식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이를 먹다.
나이는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먹어야만 하는 필수 input 요소이다. 나이를 먹으면 그에 따른 output 즉 행동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한 사람이 해마다 먹는 나이와 짊어져야 할 책임의 무게는 정비례한다. 나이에 걸맞지 않게 조숙한 아이나 철없는 어른을 대하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남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면 먹는 만큼 나잇값을 해야 한다. 

마음을 먹다. 욕을 먹다. 
마음을 들여보내면 행동이 나온다. 선한 마음을 먹으면 선한 행동이, 악한 마음을 먹으면 악한 행동이 나온다. 악한 행동을 하면 연속동작으로 욕을 먹게 되어있다. 재미있는 건, 욕이라는 input이 똑같이 들어가도 어떤 이는 좋은 결과를 낳고 어떤 이는 그 행위가 악화된다는 것이다. 소는 물을 먹으면 우유를 만들고 뱀은 물을 마시면 독을 만드는 것과 비슷한 이치일까?
이 밖에도 우리말 '먹다'는 참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귀 먹다", "겁을 먹다", "뇌물을 먹다", "1등을 먹다", "한 골을 먹다", "일본이 조선을 먹다", "얼굴에 화장이 먹다", "사과에 벌레가 먹다", "내 차는 기름을 많이 먹는다", "노예처럼 부려먹다" 등등. 세상에는 먹을 게 정말 많다. 

known-by-your-fruit.jpg


우리는 오랜 기간 동안 대단히 값진 것을 먹어왔다. 그게 얼마나 영양가 높은 먹거리였는지 지난 1년간 절실히 깨닫고 있다. 이제 먹은 만큼 배출을 해야 할 터인데 무엇을 내어놓을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본다. 아니, 지난 1년 동안 우리가 어떤 행동들을 output으로 내놓았는지 생각해보면 가슴이 먹먹해질 뿐이다. 내가 먹은 맛있는 음식이 자랑거리가 되려면 내가 하는 행동이 자랑스러워야 한다. 이제 당분간 음식 사진을 SNS에 올리는 일은 자제해야겠다.


a3e3475ba7fbe5a675c072606d01d767.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55

#121. 기대와 실행 _ 김진영 file

어느덧 2017년도 상반기가 지나고 하반기가 시작되었다. 2017년도라는 축구 경기의 전반전은 끝나고, 하프 타임이라고 할 수 있는 183일째인 7월 2일도 지났으니, 이제는 후반전만 남은 것이다. 부모를 통해 평강제일교회에 다니게 되고...

 
2017-07-12 436
54

#90. 머뭇거리기엔 먼 길 _ 박남선 file

수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 우리의 하루하루 삶과 인생에 저는 "길"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자 합니다. 어떤 이들에게는 참으로 쉬운, 혹자들에게는 어렵고 길게 느껴지는 그 길을 우리는 어떻게 걸어가고 있을까요? 인생을 논하기에 아직은 어린 ...

 
2016-12-07 436
53

#98. 소통하는 삶 _ 김신웅 file

2017년, 한 해를 새롭게 맞이했다. 회사에서는 올해도 어김없이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직원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익명 게시판을 오픈했다. 한두 사람 용기 내서 말을 꺼내 놓더니, 이제는 제법 탄력이 붙어 거침이 없다. 내용을 읽어보니, 올해는...

 
2017-02-02 435
52

#76. 오보 _ 김진영 file

올해는 지난해보다도 더 심한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민들이 하루하루 지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합리한 부분이 있는 현행 전기 요금 누진제 때문에 폭염 속에서도 에어컨도 제대로 켜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에어컨을 하루 ...

 
2016-08-29 435
51

#108.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_ 하찬영 file

‘봄 가을 없이 밤바다 돋는 달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라는 어느 시인의 고백이 떠오르는 지금, 저 역시 예전엔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에 화들짝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마감 기한을 훌쩍 넘긴 지금 급하게 자판을 두드리고 있는 중입니다. ...

 
2017-04-11 434
50

#40. 당신 생각 _ 강명선 file

당신 생각 가을에는 커피가 더 맛있어진다. 따듯한 커피를 마실 때 그 진향 향기도 함께 마시게 되어 커피의 맛을 두 배로 누리는 기분이다. 여름에 마시는 아이스커피는 목과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는 대신 그 향기는 사라진다. 나름 커피 애호가인 나는 오...

 
2015-11-29 432
49

#86. 에노스, 너무나 에노스적인 _ 하찬영 file

‘그렇다고 그가 수천억 대의 자산가가 되고 싶어 하거나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꿀 혁명적인 무엇을 바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그렇게 돈에 눈이 먼 탐욕스런 인간은 아니며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고자 하는 위대한 혁명가는 더더욱 아니다. 이래저...

 
2016-11-08 429
48

#26. 광복 70년, 70년만의 해방 _ 홍봉준 file

유독 우리에게 친숙한 '70'이라는 숫자가 눈에 들어오는 광복절이다. 정부는 하루 전날을 임시 공휴일로까지 지정하며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국가적인 도약의 계기로 삼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광복 후 걸어온 70년의 발자취가 세계사에서 유...

 
2015-08-15 429
47

#46. 3일마다 가스불에 앉기 _ 지근욱 file

1시간이 넘는 출퇴근 시간, 차에서 원로목사님의 설교 말씀을 듣는다. 설교 때마다 반복해서 말씀하시는 몇 가지 비유가 있다. 예전에는 '또 저 말씀하시는구나...' 하며 귓등으로 흘려들었는데, 지금은 한번 더 생각하게 한다. 아래 말씀은 그중 하나다. "죄...

 
2016-01-16 426
46

#139. This is my Father's Church _ 송인호 file

This is my Father’s Church 아버지 하나님께서 만드신 교회. 구속사 운동의 교회 Oh, let me ne’er forget 절대로 잊지 않으렵니다. 아버지께서 이 교회를 위해 흘리신 피와 눈물과 땀을 That though the wrong seems oft so strong, ...

 
2017-12-01 425
45

#134.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_ 강명선 file

우리 아빠는 참 복도 많다. 아내를 잘 만났다. 별로 잘해주는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엄마는 아빠를 끔찍이도 챙긴다. 술 좋아하고 친구 좋아하는 남편 만나서 고생만 한 것 같은데 환갑이 지난 지금도 아빠 곁에 있다. 옆에 꼭 붙어있다. 7남...

 
2017-10-27 424
44

#33. 15분 만에 요리가 안 나오는 이유 _ 지근욱 file

냉장고를 열고 식재료를 고른 후, 15분 만에 뚝딱! 듣지도 보지도 못한 요리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요즘 즐겨 본다. 요리를 먹는 스타들은 한입 먹는 순간 신비로운 표정에 '엄지 척'이다. 대부분의 다른 먹방(먹는 방송)과의 차이점이라면 냉장고에 ...

 
2015-10-10 420
43

#55. 십자가를 생각하며 _ 김형주 file

고난주간 속에는 예수님의 33년 전 생애가 함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생을 약속받는 확실한 증거가 예수님의 부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당하신 예수님의 고난과 아픔, 죄악된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측량하기 ...

 
2016-03-26 413
42

#38. 인재의 기준 _ 김태훈 file

"정규직, 주 5일 근무, 4대 보험, 연차휴가" 구직을 해 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보았을 채용정보 사이트의 내용이다. 요즘 같은 세상에 이 정도는 일반적인 조건이고 더 괜찮다 싶은 회사는 리스트가 길어진다. 건강검진, 가족보험, 사내 동호회, 회사 ...

 
2015-11-14 409
41

#142. 워라밸(Work & Life Balance) _ 박승현 file

해마다 이맘 때면 지난 한 해를 돌아보거나 다가올 새해를 내다보는 다양한 단어가 등장한다. 올 해 ‘욜로(YOLO, You Only Life Once)’가 미디어에 꾸준히 등장했다면, 2018년 트렌드 전망에는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있다. 일과 삶의 균형...

 
2017-12-26 408
40

#51. 2월이 존재하는 이유 _ 강명선 file

요즘 달력을 자주 본다. 2월이기 때문인가. 겨울이 지겨워서 빨리 이별하고 싶어지는 달이다. 나는 마침 이른 봄방학을 맞이하여 한 달의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재충전의 시간이 될 수도 있고, 불안과 염려의 시간이 될 수도 있는 아주 묘한 ...

 
2016-02-20 407
39

#78. 신은 죽었다고? _ 강명선 file

쌀쌀한 여름밤이었다. 아들과 나는 동네 마트에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집을 향해 걷던 길이었다. 기분이 좋았던 나는 4학년 2 학기를 맞은 아들에게 새 학기에 대한 격려와 칭찬의 말을 해주고 있던 참이었다. ‘엄마, 나는 못생겼어. 나는 ...

 
2016-09-18 405
»

#41. 먹다 _ 원재웅 file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직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최근 우리의 관심은 '배불리' 먹는 게 아니다. 맛있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자랑거리가 되었다. 각종 SNS에 올...

 
2015-12-05 401
37

#35. 가치 _ 홍미례 file

현세는 그야말로 교환가치의 시대입니다. 내가 소유하거나 내가 관계를 맺으려는 물건 혹은 사람이 얼마만 한 교환가치가 있느냐에 관심이 집중되지요. 가치를 재는 척도가 그만큼 피상적이고 계산적이며 이기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를테면 ...

 
2015-10-24 400
36

#81. 사랑에 대하여 _ 홍미례 file

사랑에 대하여,라고 제목을 잡았다고 해서 이 글 속에 뭔가 거창한, 혹은 뜨거운 것이 있을 거란 생각은 하지 말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썼던 글 중에 이 글이 가장 무심하고 냉랭한 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왜냐면 나는 사랑에 대해 알지 못하고 ...

 
2016-10-04 399
152-896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