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pkblog_body_56.jpg



책은 세 가지 몫을 가집니다. 저자의 몫과 독자의 몫, 나머지 하나는 하나님의 몫입니다. 책이 지니는 몫은 트라이앵글의 구조를 이룹니다. 책은 다양한 텍스트들의 총집합인데 그중에는 유일한 텍스트도 있습니다. 성경이 바로 그렇습니다. 말씀이 문자로 기록되면서 필연적으로 파생된 문학이 출연하고 글을 쓰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찾아서 읽는 사람들이 생겼습니다. 이런 구조의 중앙 꼭짓점에는 하나님의 몫, 섭리가 있습니다.


저자의 몫은 무엇입니까. 간단합니다. 쓰는 것입니다. 아는 것을 쓰는 것입니다. 들은 것을 쓰는 것, 받은 것을 쓰는 것, 또한 전해야 할 것을 쓰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은 아주 특별하고 독특한 사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쓰는 몫은 누구에게나 주어지지 않습니다. 저자는 두 종류로 나뉩니다. 글을 쫓아가며 쓰는 부류와 글이 쫓아와 써지는 부류입니다. 전자는 다수이고 후자는 소수이며 희귀성을 띱니다.


독자의 몫은 읽는 것이겠지요. 읽고 생각하고 분석하고 체화 시키는 것, 독자의 몫입니다. 읽는 몫은 누구에게나 주어질 수 있습니다. 문자를 읽히기만 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흰 바탕에 검은 글씨를 보는 행위를 독서라고 한다면 곤란하겠지요. 읽는다는 것은 이해한다는 것인데 이해한다는 것은 신뢰한다는 것과 같은 맥이라고 봐야겠습니다. 행복한 독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은 좋은 책을 알아보는 것과 훌륭한 저자를 만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몫은......그것은 하나님만 아십니다. 제가 아는 것은 한 권의 책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한 사람이 그 책을 쓰고 만들 수 있다는 것과 어떤 사람은 읽음으로써 인생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희귀한 저자를 택하여 무엇을 어떻게 쓸지를 계시하고 독자를 뽑아 읽히고 깨닫게 하여 자기 사람으로 만드는 것, 오직 하나님만이 가능케 하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생의 유일한 텍스트를 찾으셨습니까? 개인을 변화시키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그런 책 말입니다. 그렇다면 그분의 그 책을 평생토록 진지하게 읽어야겠군요. 내 인생의 빛이 된 책이라면 타인의 인생에 등불이 되도록 날개를 달아 전해야겠군요. 삶이 뒤집히는 텍스트를 찾았는데도 불구하고, 그 가치에 합당한 삶을 살아드리지 못한 것, 심장이 아릿하지요


좋은 책은 거울입니다. 인간의 본질을 비춥니다. 거울 속에는 나와 인류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서사가 압축되어 있습니다. 책은 일을 합니다. 퍼즐을 맞추듯이 서사의 뼈대를 하나하나 뽑아내어 거대한 그림을 완성하는 것은 트라이앵글 구조를 지닌 책이 지닌 몫입니다. 우리는 어느 몫에 해당됩니까. 저자와 하나님의 몫이 실린 책이 일하도록 각자 맡은 자리에서 의미 있는 몸부림을 하고 있습니까.

 

희귀하고 좋은 텍스트의 큰 특징은 독자들이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늘이 내린 떡과 같은 선물입니다. 에녹은 일생 365년 중 18% 정도인 65년간 하나님과 동행하지 못했습니다. 어쩌면 그 65년은 하나님과 동행하기 위해 몸부림하는 의지와 실수와 고뇌의 번복이 아니었을까요. 지금까지의 삶이 의지와 실수와 고뇌의 번복이었다 해도 하늘이 내린 선물은 변함없으니 낙심치 맙시다.


생각은 왜 하고 말은 왜 하고 글은 왜 씁니까. 생명 죽은 것이 생각이요, 생각 죽은 것이 말이요, 말 죽은 것이 글입니다(참평안 특별호Ⅱ 중에서). 글마저 죽는다면, 글마저 믿지 못한다면 길이 없습니다. 글 그 이하로는 더 이상 하나님이 낮아지실 공간도 시간도 차원도 없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글, 지금 여기에서는 돌아서서도 멈춰 서서도 안 됩니다.

 

4월이라 그런가요. 꽃향기가 진동하기 시작했군요. 저는 자리를 툭툭 털고 일어나 책을 들고 전도하러 나가야겠습니다. 함께 가시려는지요.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UXdc6Zb2ZySQS9zv61XBU3Ot5aZ.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1

#142. 워라밸(Work & Life Balance) _ 박승현 file

해마다 이맘 때면 지난 한 해를 돌아보거나 다가올 새해를 내다보는 다양한 단어가 등장한다. 올 해 ‘욜로(YOLO, You Only Life Once)’가 미디어에 꾸준히 등장했다면, 2018년 트렌드 전망에는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있다. 일과 삶의 균형...

 
60

#96. 유난스런 고민 끝내고 오로지 전진만 _ 정유진 file

처음 무언가를 시작할 때면 항상 두려움 반 설렘 반입니다. ‘처음’이라는 그 공간만큼 무한한 가능성이 압축된 곳이 또 있을까싶습니다. 시작할 때의 포부와 앞날을 기대하는 마음, 잘 해보겠다는 다짐과 단단한 의지가 담긴 초심만으로 훗날 ...

 
59

#76. 오보 _ 김진영 file

올해는 지난해보다도 더 심한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민들이 하루하루 지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합리한 부분이 있는 현행 전기 요금 누진제 때문에 폭염 속에서도 에어컨도 제대로 켜지 못하는 국민들에게 ‘에어컨을 하루 ...

 
58

#144. +1_ 홍명진 file

1을 더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노력과 수고가 필요한 일이다. 단순히 수 계산에서의 1을 더하는 것 말고도 어제에서 오늘로 넘어오려면 24시간이 필요하고, 1월에서 2월로 넘어가려면 30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하고,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오는데도 12...

 
57

#34. D-30! 이제 겨우 남은 30일 _ 송현석 file

한국의 독특한 교육열과 입시문화, 개인적으로 참 마음에 들지 않는 속성들이지만, 한편으로는 천국 입시의 아주 확실한 샘플이기도 하다. 강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를 더욱 확실히 느낄 수 있으니, 이 글을 작성하는 '수능 D-30'의 시점에서 이에 대해 ...

 
56

#35. 가치 _ 홍미례 file

현세는 그야말로 교환가치의 시대입니다. 내가 소유하거나 내가 관계를 맺으려는 물건 혹은 사람이 얼마만 한 교환가치가 있느냐에 관심이 집중되지요. 가치를 재는 척도가 그만큼 피상적이고 계산적이며 이기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를테면 ...

 
55

#93. 마감하는 인생 _ 강명선 file

 ‘한 해를 멋지게 마무리하는 방법’이라고 근사하게 2016년의 마지막 평강 에세이를 이만 총총 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었다. 그런데 보아하니 지금 나는 또 마감에 몰려있다. 매번 밀리는 싸움이다. 때론 넉넉히 이기고 싶은데 늘 내가 수세에 몰...

 
54

#79. Hold me, Mold me, Make me, Fill me _ 원재웅 file

Hold me, Mold me, Make me, Fill me 아주 오래전 우리 집 거실 장식장에 조그만 사기그릇이 하나 있었다. 도자기라고 하기에는 그 모양이 현대적이었다고나 할까. 요즘 벤티 사이즈의 머그잔과 비슷한 형태의 그릇이었다. 보통 도자기에 글이나 그림이...

 
53

#36. 바벨 _ 최주영 file

대화를 하다 보면 간혹 상대방이 어떤 의중인지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느낌으로도 모르겠고, 제스처로도 파악이 안되고, 말로 표현하다 보면 더욱더 아련해집니다. 이는 대화하는 상대방도 매한가지입니다. 아무리 자세히 일러주어도 ...

 
52

#115. 우리 인생엔 지름길이 없다 _ 김영호 file

2017년 전도 축제가 5월 14일과 21일 양일간에 진행되었습니다. 바둑에는 복기란 말이 있습니다. 복기는 한 번 두고 난 바둑을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둑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

 
51

#129.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향기 _ 김영호 file

어느 날 길을 걷다가 익숙한 향기를 맡았습니다.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옛날 시골집의 향기였습니다. 초등학교 방학 때 할머니가 계신 시골에 내려가서 한 달 내내 살았던 기억이 납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빌라와 ...

 
50

#15. 신앙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있는 식단 _ 김태훈 file

건강식품 유통업을 하는 지인을 만났는데 평소와 달리 얼굴이 그리 밝지 않았다.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업계가 비상이라고 한다. 5월은 어버이 날, 스승의 날이 있어 통상 일 년 중 건강식품의 판매가 가장 활발해야 하는 시점인데 사건의 파장이 걷잡을 수...

 
49

#72. 수련회의 추억 _ 박승현 file

요즘은 놀 거리, 볼거리가 많아졌지만, 80년대만 하더라도 수련회(성경학교)는 일 년 내내 기다리는 행사 중 하나였다. “즐거운 여름학교, 하나님의 집~ 아~아~아 진리의 성경 말씀, 배우러 가자“를 외치며 말죽거리(지금의 양재)에서 78-1번 ...

 
48

#41. 먹다 _ 원재웅 file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직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최근 우리의 관심은 '배불리' 먹는 게 아니다. 맛있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자랑거리가 되었다. 각종 SNS에 올...

 
47

#86. 에노스, 너무나 에노스적인 _ 하찬영 file

‘그렇다고 그가 수천억 대의 자산가가 되고 싶어 하거나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꿀 혁명적인 무엇을 바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그렇게 돈에 눈이 먼 탐욕스런 인간은 아니며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고자 하는 위대한 혁명가는 더더욱 아니다. 이래저...

 
46

#55. 십자가를 생각하며 _ 김형주 file

고난주간 속에는 예수님의 33년 전 생애가 함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생을 약속받는 확실한 증거가 예수님의 부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당하신 예수님의 고난과 아픔, 죄악된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측량하기 ...

 
45

#40. 당신 생각 _ 강명선 file

당신 생각 가을에는 커피가 더 맛있어진다. 따듯한 커피를 마실 때 그 진향 향기도 함께 마시게 되어 커피의 맛을 두 배로 누리는 기분이다. 여름에 마시는 아이스커피는 목과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는 대신 그 향기는 사라진다. 나름 커피 애호가인 나는 오...

 
44

#112. 내 인생의 사물 _ 김신웅 file

어느 포근한 토요일 점심 무렵, FM 라디오를 – 채널 주파수는 104.5MHz – 들으며 교회에 가던 중이었다. 봄 개편을 맞아 새롭게 시작한 프로그램, 개그우먼 박지선 씨가 진행하는 ‘사물의 재발견’이 흘러나왔다. 이 날 코너에서는 여러 청취...

 
43

#116. 기회 _ 서재원 file

어느덧 우리는 2017년이라는 층의 중앙 지점에 도착했습니다. 처음 우리가 2017년을 만났을 때 세웠던 계획들과 수많은 목표들에 얼마나 다가가고 있으신가요? 아직도 계획만, 혹은 포기한 것들이 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수많은 계획...

 
42

#29. 여름의 당부 _ 강명선 file

녀석을 발견한 것은 교회 에담 식당 앞 주차장 부근이었다. 감나무 아래를 지나는데 너무나 멀쩡한 모습으로 땅바닥에 굴러떨어져 있던 그 녀석. 그 작고 앙증맞은 녀석을 그냥 두고 갈 수 없어 발걸음을 멈췄다. 자기가 어떤 상황에 처했는지 모르는 그 철...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