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66
등록일

2016.10.04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28lMXnFBqUxBpIcEOtyheeww9SvAFQ.jpg



사랑에 대하여,라고 제목을 잡았다고 해서 이 글 속에 뭔가 거창한, 혹은 뜨거운 것이 있을 거란 생각은 하지 말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썼던 글 중에 이 글이 가장 무심하고 냉랭한 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왜냐면 나는 사랑에 대해 알지 못하고 사랑을 실천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마치 사랑이란 이런 것이며, 여기에 사랑이 있노라고 덜 익은 비린내를 풍기는 제목을 정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글의 제목은 사실 ‘사랑을 아시나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쯤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상하게도, 사랑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사랑에 대한 책을 보고 연수도 듣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것이 이론으로 배운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란 걸 알지만 나는 부단히 사랑을 향하여 걷고 있더군요. 사랑과 전혀 관련 없는 책인 것 같고 연수 같은 것도 나는 이미 사랑과 연관 짓고 있었으니 말입니다. 저기 붉게 물들기 시작한 나뭇잎을 보거나 누군가의 품에 안긴 노랑 장미 한 송이만 보아도 그래, 문제는 사랑이거든, 이렇게 중얼거리곤 합니다. 그런데 웬일인지 사랑에 대해 생각할 때면 입안에 쓴 침이 고였습니다.

 도대체 사랑은 무엇인가. 오래 참고, 성내지 않고, 교만하지 않으며... 맞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제가 입으려는 옷의 첫 단추가 아니었습니다. 에릭 프롬의 사랑의 기술이나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 그것도 아닙니다. 어느 날,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문득 일련의 생각들이 두서없이 화르륵 피어났습니다. 사랑은 설거지야. 사랑은 빨래와 청소이며 사랑은 손칼국수와 차를 대접하는 일이야. 사랑은 출근이며 땀 흘려 일하는 거고 퇴근 후 병문안을 가는 일이야. 사랑을 하고 싶다면 책상에 앉아 노트북을 두드리지 말고 소파에 피곤에 쓰러져 누운 사람이 깨지 않도록 가만히 이불을 덮어주고 머리맡에 앉아 기도하는 것이야. 나에겐 그래, 내 살 같은 시간을 뚝 떼서 붙여주는 것. 나는 사랑을 생각하느라 쓴 침이 고이는 입속에 사탕을 하나 까 넣었습니다.

 사랑은 너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거야. 너무 깊이 생각하다 보면 오히려 예쁘게 포장되어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높이 떠오른 풍선처럼 추상적으로 변질되어, 사랑은 사랑대로 생활은 생활대로 이중적 삶이 될 수가 있으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설거지를 해야 하고 내 살 같은 시간을 조금이나마 떼어서 나눠주고 머리맡에서 기도해주고 손칼국수를 끓여야 할까? 음...그것은 영원히. 하나님이 그만이라고 말씀하실 때까지. 그런데 하나님은 사랑을 그만둬라, 고 말씀하지 않으실 거야. 더 사랑하라. 여기에서 사랑했다면 저기까지 사랑하라, 고 말씀하실 거야. 그러니까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영원히 해야 하는 거야. 여기까지 생각했을 때 지하철 환승역에 도착했습니다. 서둘러 내리며 아마 사랑은 마지막 숙제이며 가장 어려운 숙제일 거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저는 아직 사랑에 대해 한 글자도 쓰지 못 했습니다. 또한 사랑을 향해 한 걸음도 떼지 못 했습니다. 마틴 부버의 말처럼 하나님은 모든 (그것)을 당신의 (너)로 만드는 무한한 (나)인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무한한 나인 (너), 하나님의 모든 (그것)을 사랑하고자 한 글자를 쓰고 한 걸음을 떼기로 했습니다. 내가 사랑에 대해 아는 것은 딱 하나, 하나님의 이름과 성품과 말씀은 사랑이니까요.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cyc74AGdMTy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46

#125. 노래하는 말 _ 송인호 file

죄를 짓고 붙잡혀 왕이 내리는 처벌을 받을 운명에 처한 죄수가 있었습니다. 이 죄수는 자신을 죽이지 않고 살려주면 1년 안에 왕이 아끼는 말에게 노래를 가르치겠다는 약속으로 왕을 설득해 목숨을 건졌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또 다른 ...

 
145

#141. 12월에 시작하기 좋은 책읽기 _ 이원재 file

학교 현장은 한 학년을 마무리하느라 바쁜 모습이다. 2차 지필평가(예전에는 기말고사라고 했음)가 곧 시작하고 방학 전까지 각종 행사를 하면서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기록부를 풍성하게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고3 수험생은 포항 ...

 
144

#71. 사드 단상 _ 송인호 file

6월이 호국보훈의 달이라면, 7월 역시 1953년 휴전협정이 맺어진 지 63주년이 되는 달이다. 전쟁 통에 태어나거나, 해방 전후 태어난 분들도 이제 어언 70대에 도달하셨고 헤어진 이산가족들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나라사랑 웅변대...

 
143

#78. 신은 죽었다고? _ 강명선 file

쌀쌀한 여름밤이었다. 아들과 나는 동네 마트에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집을 향해 걷던 길이었다. 기분이 좋았던 나는 4학년 2 학기를 맞은 아들에게 새 학기에 대한 격려와 칭찬의 말을 해주고 있던 참이었다. ‘엄마, 나는 못생겼어. 나는 ...

 
142

#55. 십자가를 생각하며 _ 김형주 file

고난주간 속에는 예수님의 33년 전 생애가 함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생을 약속받는 확실한 증거가 예수님의 부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당하신 예수님의 고난과 아픔, 죄악된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측량하기 ...

 
141

#112. 내 인생의 사물 _ 김신웅 file

어느 포근한 토요일 점심 무렵, FM 라디오를 – 채널 주파수는 104.5MHz – 들으며 교회에 가던 중이었다. 봄 개편을 맞아 새롭게 시작한 프로그램, 개그우먼 박지선 씨가 진행하는 ‘사물의 재발견’이 흘러나왔다. 이 날 코너에서는 여러 청취...

 
140

#118. 이 시대의 주인공 _ 이장식 file

6월은 현충일과 6. 25 한국전쟁, 6. 29 제2연평해전이 일어난 달로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며 애국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지정된 호국보훈의 달이다. 고등부 한소리에서도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휘선 박윤식 원로목사님의 ...

 
139

#115. 우리 인생엔 지름길이 없다 _ 김영호 file

2017년 전도 축제가 5월 14일과 21일 양일간에 진행되었습니다. 바둑에는 복기란 말이 있습니다. 복기는 한 번 두고 난 바둑을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둑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

 
138

#15. 신앙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있는 식단 _ 김태훈 file

건강식품 유통업을 하는 지인을 만났는데 평소와 달리 얼굴이 그리 밝지 않았다.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업계가 비상이라고 한다. 5월은 어버이 날, 스승의 날이 있어 통상 일 년 중 건강식품의 판매가 가장 활발해야 하는 시점인데 사건의 파장이 걷잡을 수...

 
137

#29. 여름의 당부 _ 강명선 file

녀석을 발견한 것은 교회 에담 식당 앞 주차장 부근이었다. 감나무 아래를 지나는데 너무나 멀쩡한 모습으로 땅바닥에 굴러떨어져 있던 그 녀석. 그 작고 앙증맞은 녀석을 그냥 두고 갈 수 없어 발걸음을 멈췄다. 자기가 어떤 상황에 처했는지 모르는 그 철...

 
136

#103. 사순절 그리고 갱신 _ 이장식 file

날씨가 풀리고 입고 있던 두꺼운 외투를 벗어던지니 그제야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따사로운 햇빛을 받아 엄동설한 얼어붙었던 대지는 녹고 마음도 녹아내리는 것 같이 열린 마음을 갖게 됩니다. 모든 만물이 눈을 뜨고 기...

 
135

#104. 하나님의 계획을 기대하는 사람 _ 박남선 file

얼어붙었던 하늘과 땅이 어느새 온기를 만나 봄의 길과 마주한 계절이 되었습니다. 사람의 삶도 항상 따뜻한 날들만 가득했으면 좋겠지만 우리는 하루에도 혹한의 겨울을, 서늘한 가을을 또 뜨거운 여름과 온화한 봄을 느끼곤 합니다. 통상 우리...

 
134

#116. 기회 _ 서재원 file

어느덧 우리는 2017년이라는 층의 중앙 지점에 도착했습니다. 처음 우리가 2017년을 만났을 때 세웠던 계획들과 수많은 목표들에 얼마나 다가가고 있으신가요? 아직도 계획만, 혹은 포기한 것들이 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수많은 계획...

 
133

#41. 먹다 _ 원재웅 file

인류가 먹고사는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직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최근 우리의 관심은 '배불리' 먹는 게 아니다. 맛있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자랑거리가 되었다. 각종 SNS에 올...

 
132

#93. 마감하는 인생 _ 강명선 file

 ‘한 해를 멋지게 마무리하는 방법’이라고 근사하게 2016년의 마지막 평강 에세이를 이만 총총 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었다. 그런데 보아하니 지금 나는 또 마감에 몰려있다. 매번 밀리는 싸움이다. 때론 넉넉히 이기고 싶은데 늘 내가 수세에 몰...

 
131

#72. 수련회의 추억 _ 박승현 file

요즘은 놀 거리, 볼거리가 많아졌지만, 80년대만 하더라도 수련회(성경학교)는 일 년 내내 기다리는 행사 중 하나였다. “즐거운 여름학교, 하나님의 집~ 아~아~아 진리의 성경 말씀, 배우러 가자“를 외치며 말죽거리(지금의 양재)에서 78-1번 ...

 
130

#86. 에노스, 너무나 에노스적인 _ 하찬영 file

‘그렇다고 그가 수천억 대의 자산가가 되고 싶어 하거나 세상을 더 아름답게 바꿀 혁명적인 무엇을 바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그렇게 돈에 눈이 먼 탐욕스런 인간은 아니며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고자 하는 위대한 혁명가는 더더욱 아니다. 이래저...

 
129

#40. 당신 생각 _ 강명선 file

당신 생각 가을에는 커피가 더 맛있어진다. 따듯한 커피를 마실 때 그 진향 향기도 함께 마시게 되어 커피의 맛을 두 배로 누리는 기분이다. 여름에 마시는 아이스커피는 목과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는 대신 그 향기는 사라진다. 나름 커피 애호가인 나는 오...

 
128

#51. 2월이 존재하는 이유 _ 강명선 file

요즘 달력을 자주 본다. 2월이기 때문인가. 겨울이 지겨워서 빨리 이별하고 싶어지는 달이다. 나는 마침 이른 봄방학을 맞이하여 한 달의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재충전의 시간이 될 수도 있고, 불안과 염려의 시간이 될 수도 있는 아주 묘한 ...

 
127

#129.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향기 _ 김영호 file

어느 날 길을 걷다가 익숙한 향기를 맡았습니다.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옛날 시골집의 향기였습니다. 초등학교 방학 때 할머니가 계신 시골에 내려가서 한 달 내내 살았던 기억이 납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빌라와 ...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