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등록일

2015.05.09

pkblog_body_최.jpg


5월입니다. 영어 이름인 ‘May’는 로마 신화에 나오는 농부의 수호신, 봄과 성장의 신, 모든 식물의 성장을 담당하는 여신 마이아(Mai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피천득은 ‘5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라고 했습니다. 괴테는 5월의 눈부신 태양과 대지 아래서 넘쳐 터지는 가슴의 행복과 환희를 주체 못하고 청춘의 사랑을 노래하였습니다. 

같은 푸르름을 풀어놓았지만 9월과 그 느낌이 다른 것은 5월이 소생과 성장의 경계에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죽음의 겨울을 지나고 소생은 하였는데 그 탄생의 봄길 끝에서 꽃샘추위에 어찌할 바 모르던 대자연이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는 불멸의 여정의 경계를 힘차게 행진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혜의 왕 솔로몬은 전도서에서 만물과 인생을 통찰하며 이러한 대자연의 불멸의 모습은 사람이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만물의 피곤함이며, 사람의 어떤 탁월한 성취조차도 세대가 반복되는 불멸의 시간 속에서 이전 세대조차 기억 못하는 절망스러운 헛된 수고일 뿐이라고 애통해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살아있는 가장 오래된 생명체는 미국 캘리포니아 화이트 산에 있는 브릿슬콘 소나무로 수령(樹齡)이 약 4천800년을 넘는다고 합니다. 노아 시대에 태어나 인간 군상의 타락상을 지켜보며 대홍수 심판까지 견뎌낸 장수 나무인 셈입니다. 인류의 평균 수명을 살펴보면 예수님 당시에는 약 28세, 19세기 초까지도 약 35세에 불과했는데 의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현재 약 67세에 이르고 2050년에는 약 150세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025_Bristlecone2b_.jpg


하지만 장수의 기쁨도 잠시요, 우울한 소식은 일정 수준의 나이를 넘기면서 하루가 멀다고 찾아오는 병치레와 암, 치매 등의 중증 질환으로 죽음을 기다리며 인생의 대부분을 보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현생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어 브릿슬콘 소나무처럼 불멸이라 느낄 만큼 오래 산다고 할 때 ‘영생의 기쁨을 누리는 시간’과 ‘암 투병과 무기력으로 죽음을 앞둔 고통의 시간’ 중 과연 어느 쪽이 더 길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한편으로는 대자연의 영속성이 새 생명의 잉태를 통해 이어지는 것처럼 사람도 자식이나 이후 세대를 통한 대물림으로 영생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중학교 생물 시간이 가장 흥미진진했습니다. 식물이든 동물이든 생명체의 복잡한 작동 메커니즘이 물질의 화학작용으로 설명되는 것이 신기했고, 동물(특히 포유류)이나 사람이나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과정이 정확히 일치한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인간의 죽음도 동물의 죽음과 다를 바 없는 자연현상 중의 하나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다가도, 그런 유사성을 갖고도 왜 인간은 다른 생명체와는 아주 다른 탁월한 특징들을 가지게 되었을까,라는 호기심과 궁금증이 쌓여갔습니다. 진화냐 창조냐 하는 논쟁 자체도 ‘인간이니까’ 가능한 발상이요, 진화론으로는 이러한 모든 것들을 도무지 납득할 수 없었습니다. 뇌가 없으면 인간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가치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되었지만 그렇게 마음에서 나오는 수많은 가치들이 동물이나 자연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독특한 이유에 대해서는 물질적인 혹은 과학적인 설명만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자식을 낳아 기르는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DNA를 통해 부모의 형질이 전달되었다고 부모의 가치관이나 의식 혹은 신앙이 전달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찾을 수가 없습니다. 문화나 세태를 통해서 시시각각으로 독립하는 아이들을 바라볼 뿐입니다. 아무리 자식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부모라 한들 그 자식은 자기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말입니다. (물론 자녀가 치부와 오점 많은 부모와 똑같지 않다는 것은 큰 다행입니다.)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찌라. 해 아래는 새것이 없다”라고 탄식한 솔로몬이 깨달아보니 지금 있는 것이 옛적에도 있었고, 장래에 있을 것도 이미 옛적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하나라도 더 할 수도 없고 덜 할 수도 없는, 하나님의 행하시는 모든 것이 영원히 있음에 대한 반증이라 깨달은 솔로몬은 하나님이 모든 것을 지으시되 때를 따라 아름답게 하셨음을 고백하였습니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제때에 알맞게 맞아들어가도록 만드셨으므로, 사람은 사는 동안에 기뻐하고 선을 행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없으며 사람마다 수고한 보람으로 즐겁게 지내는 것이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죽음을 생각할 필요도 없고, 불멸을 생각할 필요도 없습니다. 인생의 아름다움은 살아있는 동안 때에 맞게 그 수고를 다하는 보람으로 즐겁게 사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천하 범사에 기한이 있고 하나님은 모든 목적이 이룰 때를 정하시고 때를 따라 다 아름답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c99fa2c87ffedccf2aabcc0db6ab732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21

#142. 워라밸(Work & Life Balance) _ 박승현 file

해마다 이맘 때면 지난 한 해를 돌아보거나 다가올 새해를 내다보는 다양한 단어가 등장한다. 올 해 ‘욜로(YOLO, You Only Life Once)’가 미디어에 꾸준히 등장했다면, 2018년 트렌드 전망에는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있다. 일과 삶의 균형...

 
120

#44. 작심삼일(作心三日) _ 박승현 file

#2016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를 되돌아보며 자책도 하고, 2016년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새로운 다짐을 하기도 한다. 교육생들의 다짐은 대개 이런 것들이다. - 금연. 사랑하는 가족을 위한 최고의 선물. - 王(왕) 복근 만들기. 몸은 40이지만 마음...

 
119

#121. 기대와 실행 _ 김진영 file

어느덧 2017년도 상반기가 지나고 하반기가 시작되었다. 2017년도라는 축구 경기의 전반전은 끝나고, 하프 타임이라고 할 수 있는 183일째인 7월 2일도 지났으니, 이제는 후반전만 남은 것이다. 부모를 통해 평강제일교회에 다니게 되고...

 
118

#51. 2월이 존재하는 이유 _ 강명선 file

요즘 달력을 자주 본다. 2월이기 때문인가. 겨울이 지겨워서 빨리 이별하고 싶어지는 달이다. 나는 마침 이른 봄방학을 맞이하여 한 달의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재충전의 시간이 될 수도 있고, 불안과 염려의 시간이 될 수도 있는 아주 묘한 ...

 
117

#134.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_ 강명선 file

우리 아빠는 참 복도 많다. 아내를 잘 만났다. 별로 잘해주는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엄마는 아빠를 끔찍이도 챙긴다. 술 좋아하고 친구 좋아하는 남편 만나서 고생만 한 것 같은데 환갑이 지난 지금도 아빠 곁에 있다. 옆에 꼭 붙어있다. 7남...

 
116

#82. 은혜와 율법주의 _ 김형주 file

이상한 일이 있습니다. 집에 가전제품이 저절로 작동하는가 하면, 사람도 없는 엘리베이터가 층층마다 멈추면서 문이 열리고 닫히기를 계속합니다. 이런 진풍경이 꼬박 일주일에 한 번씩 하루 동안 세계 곳곳에서 목격됩니다. 얼핏 들으면 괴담에나...

 
115

#17. 울타리 _ 강명선 file

토요일 아침이다. 햇살이 더 뜨거워지기 전에 놀아야 한다. 자는 아들 깨워서 자전거 뒷자리에 태우고 오류동 탐험을 나섰다. 작년 봄에 이사 왔지만 늘 집과 교회를 반복하다 보니 아직도 못 가봐 궁금한 곳이 많다. 자전거 길을 찾아 돌다가 빵집에 들...

 
114

#19. 위험불감증 _ 김범열 file

 중동 호흡기 증후군, 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의료진과 방역 당국이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진자와 사망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람들로 붐벼야 할 시내 유명 백화...

 
113

#140. 신앙전수의 길 _ 김신웅 file

2017년 11월 17일, 평소와 같이 아침 통근버스를 타기 위해 발걸음 하던 중, 아버지로부터 급하게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친할머니의 임종 소식이었다. 순간 머리가 멍해지고 슬픔이 찾아오면서 할머니에게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 20대 초반...

 
112

#42. 2015년이라는 길의 끝자락에서 _ 김범열 file

새해가 되면 가장 먼저 새로운 달력을 벽에 걸고 희망에 부풀어 오른다. 2015년 새 달력을 벽에 걸고 설레던 것이 불과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올해의 달력도 12월 마지막 한 장 밖에는 남지 않았다. 한 해를 보내며 아쉬움을 느끼는 것은 모두 마찬가지인...

 
111

#26. 광복 70년, 70년만의 해방 _ 홍봉준 file

유독 우리에게 친숙한 '70'이라는 숫자가 눈에 들어오는 광복절이다. 정부는 하루 전날을 임시 공휴일로까지 지정하며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국가적인 도약의 계기로 삼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광복 후 걸어온 70년의 발자취가 세계사에서 유...

 
110

#56. 책이 지니는 세 가지 몫 _ 홍미례 file

책은 세 가지 몫을 가집니다. 저자의 몫과 독자의 몫, 나머지 하나는 하나님의 몫입니다. 책이 지니는 몫은 트라이앵글의 구조를 이룹니다. 책은 다양한 텍스트들의 총집합인데 그중에는 유일한 텍스트도 있습니다. 성경이 바로 그렇습...

 
109

#108.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_ 하찬영 file

‘봄 가을 없이 밤바다 돋는 달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라는 어느 시인의 고백이 떠오르는 지금, 저 역시 예전엔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에 화들짝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마감 기한을 훌쩍 넘긴 지금 급하게 자판을 두드리고 있는 중입니다. ...

 
108

#32. 한 해의 2/3 분기점을 지나는 천국 가는 나그네길에서 _ 박다애 file

잠잠했던 비염인데 알레르기가 다시 들끓어 올랐다. 가려운 눈을 비비니 열이 나고, 흐르는 콧물을 연신 닦아내느라 코밑이 허는 지경에 이르렀다. 계절이 바뀌거나 기온차가 갑자기 커질 때면 으레 겪는 통과의례 같은 현상이다. 하늘이 높아졌고, 내가 ...

 
107

#98. 소통하는 삶 _ 김신웅 file

2017년, 한 해를 새롭게 맞이했다. 회사에서는 올해도 어김없이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직원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익명 게시판을 오픈했다. 한두 사람 용기 내서 말을 꺼내 놓더니, 이제는 제법 탄력이 붙어 거침이 없다. 내용을 읽어보니, 올해는...

 
106

#84. 회고록 _ 송인호 file

회고록의 뜻이 궁금하여 검색해 보았다. 사전적 의미로는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며 적은 기록”이라고 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사전적 의미에 앞서 파워링크라고 나오는 수많은 회고록 대행업체(작가)들의 명단이다. 전문가의 손길을 빌어 쓰...

 
105

#22. 평강제일교회의 소리 _ 지근욱 file

가수 박진영이 홀로(?) 열심히 설명하는 세계가 '공기 반 소리 반'이다. 소리의 세계도, 진위(眞僞)가 분명한 하나님 소리와 사람 소리가 반반씩은 존재한다. 영적으로 혼탁한 시기는 사람 소리가 커져서 세상을 덮을 기세지만, 하나님의 소리는 작지만 큰 능...

 
104

#91. 너무 어려웠던 범사의 감사 _ 김진영 file

 감사는 사전적으로는 ‘①고마움을 나타내는 인사, ②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신앙생활에서는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 봉사, 찬양 등 다양한 행위로 표현되는 것 같다. 그런데 평강제일교회는 다른 어떤 교...

 
103

#25. 조합의 창의성 _ 최주영 file

이 세 가지 물건들은 사람의 손안에 쏙 들어오게 디자인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호모 에렉투스가 100만 년 넘게 사용했다고 알려진 손도끼입니다. 그 이전 원시인류의 최첨단 도구는 돌망치였지만 호모 에렉투스에 이르러 발명된 ...

 
102

#75.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_ 박남선 file

우리가 접하는 수많은 미디어 매체들은 마치 우리가 불행한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현 세대의 어두운 면들을 자주 논하곤 합니다. 국내적으로는 수 년째 지속되고 있는 경기 불황과 청년 취업난, 북한의 지...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