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81
등록일

2017.04.06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YsvFiIujEpjjglNGjRw.jpg



“한국의 중산층 기준”에 대해서 듣고 충격받은 적이 있다. 한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중산층의 기준에 관한 설문조사를 했는데, 그 기준이 “①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② 월 급여 500만 원 이상, ③ 자동차는 2,000cc급 이상 중형차 보유, ④ 예금액 잔고 1억 원 이상 보유, ⑤ 1년에 해외여행 1회 이상”이라고 한다. 즉 위 기준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연봉 8,000만 원 이상 및 (자산이 아닌) 자본이 적어도 6억 원 이상이 되어야 한국에서는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직장인들이 꿈의 연봉이라고 생각하는 연봉 1억 원으로 가정한다면, 세후로 월급이 약 650만 원 정도 되고, 일 년 동안 한 푼도 안 쓰고 모으면 연간 약 7,800만 원을 모을 수 있으므로, 그대로 10년 이상 모아야 한국의 중산층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객관적으로 보면 내 인생이 중산층에 한참 못 미치는‘거지같은 인생’이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교회 안에서는 “돈이 전부가 아니다”라고 배우고, 교회 밖에서는 “돈이 최고다”라고 배우는 상황에서 우선순위 내지 확실한 기준을 세우지 않는다면, 혼동과 공포 속에서 갈팡질팡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내 삶에 기준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임에도 세상이 생각할 시간조차 주지 않고 몰아붙이다 보니 그냥 저냥 흘러가다가 결국 세상의 기준에 따라 ‘내 인생은 거지구나’라고 생각하고, 위축되고 절망하며 세상에 굴복하는 것이 대부분의 모습들이 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나 자신 조차도 은혜에 감사하면서 살다가도 세상의 기준에 한참 못 미친다 싶으면 절망하기도 하고, 그런 모습이 발견되면 다시 회개하다가도 다시 낙담하는 조울증 같은 신앙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거지같은 인생’이라고 낙담하고 있을 때, 성경을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즉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과 직업들을 살펴보면, 거지, 병든 자, 고아 등 세상의 기준에 한참 못 미친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왕, 장군 등과 같이 세상에서 잘 나가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이 천국에 가거나 예수님의 은총을 받아 결국 인생이 역전되었으므로, 내 인생이 거지같다면 성경의 기록에 비추어 볼 때 내 인생은 구원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구원받은 거지들, 병든 자들 등을 유심히 살펴본 결과 그들에게도 구원받은 비결이 있었다. 바로 그들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철저히 깨닫고 그것을 고백해서 구원을 받은 것이다.


한편 직장인들 10명 중 4명은 기죽기 싫다는 등의 이유로 주위 사람들에게 자신의 연봉을 부풀려 이야기 한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가 있다. 즉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거나 인정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고, 그런 모습은 신앙생활 중에도 나타나는 것 같다. 그러나 거지같은 인생이라는 생각이 든다면, 나의 부족함을 철저히 깨닫고 적어도 나의 부족함을 하나님 앞에서는 당당하게(?) 자백해야 하지 않을까. 하나님은 내 연봉이 얼마이고, 내가 얼마나 건강하고, 내가 얼마나 잘생기고 등과 같은 것들에는 관심이 없으시고, 얼마나 당신의 자녀들이 자신의 부족함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당신의 도움을 구하는 것에 더 관심이 많지 않으실까.


평강제일교회에서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성경 구절 하나를 들라고 한다면, 신 32:7이 아닌가 싶다. 이 구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우리들에게 ‘기억하라’, ‘생각하라’, ‘물으라’라고 명령하고 계시는데, 이에 따라 교회 나오기 전과 현재, 성경공부하기 전과 현재, 신앙의 선배를 만나기 전과 현재 등을 ‘기억’하고, ‘생각’하며, 스스로에게 ‘물을’ 때, 내 부족함과 하나님의 도우심을 확실히 알게 되는 것 같다. 세상이 급하다고 하며 몰아붙이고, 세상의 기준이 더 가까이 올수록 ‘기억하고’, ‘생각하며’, ‘물어’야 하지 않을까.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EIpuSRmwBJB7wexvTMeCbx7azLMsOz.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81

[참평안_에세이] “뭐든지 붙이는 손이 되게 해 주세요” _신상례 권사 file

“뭐든지 붙이는 손이 되게 해 주세요” 신상례 권사 2017년 1월 즈음 교회 마르다 식당에서 일하는 중이었어요. 된장, 간장을 담그려고 그동안 안 쓰고 있었던 빈 항아리들을 닦고 있었죠. 수돗물을 틀어놨는데 누가 방향을 틀다가 호스를 놓친 거예요. 갑자...

 
80

#43. 2015년 성탄에는 주 예수님 누울 자리 마련했습니까? _ 박다애 file

성탄절(聖誕節)=12월 25일.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념일. 크리스마스는 영어로 그리스도(Christ)의 미사(mass)의 의미. 'X-MAS'라고 쓰는 것은 그리스어의 그리스도(크리스토스) XPIΣTOΣ의 첫 글자를 이용한 방법이다. 프랑스에서는 노...

 
79

#74. 공짜는 없다 _ 지근욱 file

몇달전 중국 출장을 갈 일이 생겼다. 공항에서 로밍 서비스와 데이터 사용 서비스도 문의했다. 중국에서도 개인적, 업무적으로 활용하는 카톡을 계속 사용하기 위함이다. 중국은 데이터 무한 사용 기준으로 하루에 1만원, 5일이면 5만원이라는 설명이다...

 
78

#20. King of Mask Singers _ 송인호 file

"복면가왕"이란 프로죠. 내가 이렇게 노래를 잘 하는데, 이 정도로 음악성이 있는데, 난 아직 잊힐 때가 아닌데, 난 너무 저평가 되었는데... 이런 출연자들을 모아 모아 가면을 씌우고 노래로 순위를 정하는 오락 프로그램입니다. 가면을 쓴 가...

 
77

#60. 남자가 민첩할 때 _ 지근욱 file

휴일이나 퇴근 후 소파에 몸을 붙이고 리모컨과 삼위일체가 되는 남자들. 아내의 눈꼬리가 조금씩 올라가고, 청소기를 시끄럽게 돌리며 소파에 가로로 누운 남편과 근접전을 펼치지만, 몸만 조금 비틀뿐 요지부동이다. 결국 잔소리가 폭발하면 그제야 일...

 
76

#114. 홍명진 _ 도화지 file

세잔(근대 회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프랑스 화가)은 정물에 관한 심오한 관찰로 이 세상의 모든 사물은 구, 원기둥, 원뿔로 이루어졌다고 말하여 후대의 많은 화가들에게 존경을 받았고, 칸딘스키(추상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러시아 화...

 
75

#147. ‘기복신앙’ 극복법 file

‘서울투어’급으로 돌아가는 지하철을 타고 목이 꺾일 듯 졸며 다닌 여정을 한 지 수개월, 뒤늦게 30분이나 절약할 수 있는 버스 노선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자주 이용하는 유형의 버스가 아니어서 정말 몰랐다. 괜히 억울하기까지 했던 것은 필요 이상으로...

 
74

#57. 재수 없다 _ 송인호 file

그간 너무 내가 게을렀다. 예전엔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아 다녔다는데, 어느새 이 교회를 바라보노라면, 고양이가 되어 버린 내 자신을 발견했다. 그간 이단으로 몰아쳐서 짭짤한 듯 하다가도 몇 년전 12월 17일, 결정적으로 패퇴하지 ...

 
73

#45. 좌충우돌 오류동 정착기 _ 하찬영 file

"쓰레기 봉투가 없네, 마트 좀 다녀올래? 의자 옆에 바지랑 셔츠 다려놓았으니 넥타이랑 챙기고" 그는 그레이 컬러의 수트와 스트라이프 셔츠를 입습니다. 마트에 갈 때는 어떤 타이가 어울릴까 잠시 망설이다 결국 그가 가장 아끼는 타이를 집어 듭니다. 시...

 
72

#65. Jesus Take the Wheel _ 원재웅 file

지난주 화요일 새벽 1시 즈음이다. 일을 마치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따라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늦은 시간이라 그런지 도로에는 차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약 100m앞에서 달리고 있는 화물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아 보였다. 양옆 차선...

 
71

#64. 쉽게 쓰여진 글 _ 강명선 file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글이 이렇게 쉽게 쓰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이런 부끄러운 일을 잘 도 한다. 내 생각 내 삶의 단상을 기록하는 나의 카카오 스토리에는 쉽게 쓰여진 글들이 많다. 문득 나타난 한 풍경 앞에 시간을 정지 시키...

 
70

#133. 나를 살게 하는 것 _ 박남선 file

"하루를 시작하는 아침, 눈을 뜬 이후로 셀 수 없을 정도로 밀물처럼 우리의 뇌리와 마음에 들어왔다가 썰물처럼 나가는 것, 어떤 부류의 사람이라 할지라도 눈을 감기 전까지 우리와 함께하는 것이 바로 근심과 걱정이다. 먼지보다 자그마한...

 
69

#28. 끝이 곧 시작이라는 말 _ 맹지애 file

헵시바에서의 첫 임원생활이 끝났습니다. 부족한 자녀를 불러주시고, 1년 동안 자리를 지킬 수 있는 상황과 여건을 허락해주신 하나님 아버지께 그저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하지만 임기가 끝나고 이제 막 일주일이 지났을 뿐인데 모든 게 다 끝난 것 같고, ...

 
68

#37. 견디어라, 나의 마음아 _ 홍봉준 file

견디어라, 나의 마음아 골리앗을 무찌르고 하루아침에 이스라엘의 영웅이 된 다윗! 그러나 그의 앞에 펼쳐진 것은 화려한 주단이 아니라 고난의 가시밭길이었다. 사랑하는 아내를 얻었으나 장인의 핍박으로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10년간이나 도망자의 신세가 ...

 
67

#154. ‘천만 대박’영화의 시나리오 file

지금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시들해지고 말았지만, 오래전 그때 그 시절, 영화가 좋아 어쩔 줄 모르던 시기가 있었더랬다. 당시에는 원하는 영화를 바로바로 볼 수 있는 수단이 지금과 같지 않아서, 동네 상가에 있었던 비디오 대여점에서 빌려보거나, 아니면 ...

 
66

#47. 모르면 억울하다 _ 김진영 file

사람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면 어떤 주장이 맞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법'이라는 기준이 등장한다. 그런데 우리가 기준으로 삼기로 한 여러 가지 법들은 각기 다른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체적 진실에 반하는 결론이 날 때가 종종 있고, 이로 인해서 ...

 
65

#67. 말쟁이가 없어지면 _ 홍봉준 file

말쟁이가 없어지면 “나무가 다하면 불이 꺼지고 말장이가 없어지면 다툼이 쉬느니라”(잠 26:20) 이 말씀을 읽을 때마다 나도 모르게 무릎을 탁 치게 된다. 본질을 꿰뚫는 통찰과 맛깔스러운 비유가 너무도 절묘하게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나무에 불이 ...

 
64

#135. 담백한 마무리 _ 김진영 file

차가운 바람 속에서 2017년도를 마무리해야 하는 시점이 점차 가까워짐을 인지하게 된다.‘올해는 정말 다르다’라는 결심과 승리의 수 ‘17’이라는 설렘을 갖고 세웠던 2017년도 신년 목표를 펼쳐 보니 새삼스럽게 다시 하나님의 은혜와 간...

 
63

#73. 집중과 몰입의 애티튜드 _ 하찬영 file

사명감 같은 것이었던 것 같다. 내가 해야 한다는, 나 밖에 없다는 그런 느낌말이다. 꽤 오래전 일인데 지금 와서 그때를 떠올려보면 너무나도 어이가 없다. 아무튼 그런 마음으로 워크샵(영화시나리오 작법에 관한, 약 6개월 코스였는데 비용이 ...

 
62

#150. 부끄럽지 않은 등재 file

어느 날 갑자기 영문 이메일이 한 통 도착했다. 'Congratulations on Your Acceptance into Who's Who in the World' 발신자를 확인해보니 ‘마르퀴즈 후즈 후’라는 곳인데, 나를 2018년도 인명사전에 등재하고자 노미네이트 했고 인명사전에 올리기 전...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