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글 수 168
등록일

2016.04.10

pkblog_body_57.jpg



그간 너무 내가 게을렀다. 예전엔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 자를 찾아 다녔다는데, 어느새 이 교회를 바라보노라면, 고양이가 되어 버린 내 자신을 발견했다. 그간 이단으로 몰아쳐서 짭짤한 듯 하다가도 몇 년전 12월 17일, 결정적으로 패퇴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여기에 머무를 수는 없지. 내부에 씨를 뿌려, 차근차근 성공의 그 날을 노려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책에도 나온다. 눈물로 씨를 뿌리는 자,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암튼.. 그래서 이 늦은 밤, 몇 가지 전략을 한번 꾸며본다.


이 넘의 교회는 그렇게 이단이라고 몰아쳐도 꿋꿋이 새벽마다 모이고, 집회마다 모이고, 게다가 요즘은 청년연합예배까지 만들었다. 질색이다. 그 날이 올수록 모이기를 더디해야 하는데 왜들 이러는가. 그간 배운 가르침을 잊을 때도 되지 않았나? 잊을만 하면, 노트 꺼내 보고, 녹취록 보고, 이제는 없어진 ‘카세트 테이프’라는 것까지 듣고 정말 재수 없는 성도들이다. 

 

14년 12월 17일이, 이제 어언 2년이 가까이 오는데 의심과 불신의 독초가 자랄만 하다가도 뽑히고.. 당췌 자라지 않는다. 생각해보니, 오류동 산 동네에 와서, 다 쓰러져가는 부대 막사 개조해서 성전을 짓더니, 너무 아름다운 평강의 동산이 되었다. 2007년부터는 구속사시리즈 (내가 제일 싫어하는 것 중에 고갱이다)를 그렇게 배워대더니, 전 성도가 어린아이까지 줄줄 외고 다닌다. 재수없다. 어린 아이들은 사상과 이념이 아직 채 여물지 않았으니, 백지 상태로 자유롭게 크도록 놔둬야 한다고, 그리 미혹시켰건만, 들은 척도 안 하고, 아이부터 어른들까지 그리 성경과 구속사시리즈를 외워댄다. 이봐! 그만 좀 해!


불평하지도 않고, 원망하지도 않는다. 정말 재수없다. 불평은 또 다른 불평을 낳고, 원망은 또 다른 원망을 낳는다. 마침내 그 불평과 원망이 습관이 되는 것이다. 얼마나 아름다운 습관이겠는가. 그것도 모르고… 왜 이리 작업봉사가 많은지. 왜 소각장은 내가 치워야 하는지. 왜 식당에서 설거지까지 해야 하는지. 성전은 왜 이리 넓어서 매주 청소해야 하는지. 졸립고 힘든데 초소철야까지 해야 하는지. 성전 문지기가 아름다운 사명이라고? 재수없다. 불평할 게 한 두 개가 아닌데 말이다. 편하고 편하게 생활하면 되는데, 그 놈의 공부에, 세미나에, 게다가 무섭게스리 사관학교까지.. 아 정말 재수 없다.


그래도 약한 고리가 좀 보이는 거 같기도 하다. 가인과 아벨에게서 시작된 미움의 역사처럼. 조짐이 좀 보이는 거 같기도 하다. 사랑으로 하나되어 2배 부흥하는 교회? 내가 제일 싫어하는 표어다. 아니 성도들끼리 좀 미워하고 다투고, 중보기도 따위 때려치우고, 구속사의 전진 같은 어려운 생각 접어두고 투닥투닥 하며 살아야지. 처음 온 사람? 신경 쓸 여가가 어딨나,. 내 코가 석자지. 그렇지, 그래야 인간적이지. 당췌 인간적인 맛이 없는 성도들이다.


진짜 내가 가장 무서워하는 그 분이 교회에 안 계시(는 거 같지만.. 내 눈엔.. 그래도 많이 무섭다.. 아이고..)는데 왜 이리 성도들은 그 분의 가르침을 지키려고 노력하고 애쓰는가. 그거 지키면 밥이 나오나.. 이봐 이봐 그렇게 팍팍하게 살지 마. 성실? 진실? 이런 거 구태의연한 거야.


아무튼 포기하지 않으련다. 수천년 싸워왔는데, 오늘 내일 낙심할 필요 있나. 왠지 그 날이 가까이 오는 거 같아 더욱 무서워지지만, 그럴수록 나는 이 교회, 이 동산에 어둠의 씨를 맘껏 뿌려 보련다. 방심하고 있어 봐라.



95c2b5acfa5637bf80981beefe30d17c_7PS9eECNwdQt73tAJUg8T7iNI8qv.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28

#06. 거짓말 그리고 봄 _ 강명선 file

겨울이 가는구나. 봄방학 말미에 그녀를 만나러 경복궁역을 향해 간다. 나와 함께 이곳 평강제일교회에서 신앙생활을 처음 시작했던 그녀를 이제 교회에서는 만날 수 없다. 그래서 일 년에 한 번 정도 그녀가 나를 부르면 내가 간다. 늘 내 가방에는 머뭇머...

 
127

#02. 비상식과 상식의 경계: 그 매력적 오답의 치명적 유혹 _ 송현석 file

비상식과 상식의 경계 -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셨나요? “합리적 의사 결정, 민주적 절차, 보편타당하고 객관적인 학문적 근거 제시, ... ” 말은 한참 어려워도 결국은 우리네 삶의 기준이 되고 많은 학문적 접근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개념들이다. 이...

 
126

#16. 우리는 여전히 꿈을 꾸고 있을까 _ 맹지애 file

시대가 변했습니다. 아이들은 가슴 뛰는 꿈을 꾸고 어른들은 그 꿈을 응원하던, 말 그대로 ‘꿈’만 같던 시기가 흘러가버렸습니다. 어른들은 말합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야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대학에 가야 좋은 직업을 얻고, 좋은 직업을 얻어야 편...

 
125

# 131. 수영을 통해 깨달은 영혼의 숨쉬기 file

얼떨결에 등록하게 된 수영. 교역자에겐 사명이 생명인지라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긴 해야겠는데 마땅한 게 없던 차에 누군가 수영을 권했다. 첫 시간부터 ‘와 이런 신세계가 있구나’ 감탄을 했다. 일단 뭔가 새로운...

 
124

#39. 인생의 한 분기점을 넘는다는 것 _ 맹지애 file

인생에는 몇 가지 큰 분기점이 있습니다. 한 사람의 삶의 방향을 좌우하는, 예를 들면 수능, 취업, 결혼 등과 같은 중대한 사건들과 마주하는 순간, 우리는 스스로의 힘으로 인생의 큰 결정을 내려야만 합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며 비로소 우리는 성장합니...

 
123

#102. 거절 못하는 병 때문에 _ 정유진 file

아뿔싸, 또 코가 꿰었다! 평강 에세이 집필진을 해달란다. 안된다고 했어야 되는데. 글 쓰는 실력 없다고 거절했어야 되는데. 차마 말을 못하고 그냥 수락해버렸다. 매번 원고 마감일에 임박해서 안 되는 글 쓰느라 머리카락 쥐어뜯으며 속으로 끙끙 앓다가 ...

 
122

#109. 네 아이의 엄마 _ 이승옥 file

저는 네 아이의 엄마입니다. 이 한 문장만 읽고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어머머, 힘들겠다.’ ‘어떻게 키운데?’ ‘지금은 힘들어도 크고 나면 좋아.’ 그리고 위에 딸이 셋이고 막내가 아들이다 보니, 또 이렇게...

 
121

#05. 사순절을 지키는 두 가지 모습 _ 홍봉준 file

사순절 기간이다. 사순절은 예수님의 40일 금식을 기념하기 위해 니케아 공의회(A.D. 325)에서 결정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동방교회에서는 해가 진 다음에 한 끼 식사만 허용하고 육식은 물론 생선과 달걀도 40일 내내 금할 정도로 엄격하게 지킨 반면에 서...

 
120

#156. 이길 밖에는 대안이 없어요? file

살아가다 보면, 선택의 기로가 심심치 않게 주어집니다. 혈압이 높으니 카페인을 줄여야 하는데 몽롱한 정신을 각성시키기 위해, 빈속에 커피를 마시는 것도 선택이고, 종합 검진을 받고, 아찔한 숫자들과 의사 선생님의 말씀을 배부르게 먹었으니, ‘자, 운...

 
119

#14. 뒤에서 들리는 스승의 목소리 _ 홍봉준 file

5월은 일 년 중 ‘기념일’이 가장 많은 달이다. 어린이로부터 시작해서 부모와 선생님에 이르기까지, 모두 한 사람의 성장과 가르침에 관련된 날들이다. 그중에서 스승의 날은 그 의미와 가치가 많이 퇴색했지만, 그래도 스승은 변치 않는 우리 ...

 
118

#151. 감사와 사명 file

사명使命, 부릴 사使 목숨 명命, 국어사전에서는 '맡겨진 임무'라는 뜻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왜 이 땅에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과 존재 이유를 설명 할 수 있는 단어인 셈입니다. 아마도 이 사명이 가장 중요시되는 직업은 ...

 
117

#01. 금순이를 찾아서 _ 지근욱 file

두 배는 최대한 많이 실으려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너무나 달랐다. 한 배는 자유와 생명의 땅에 도착했고, 다른 한 배는 깊은 바닷속으로 잠겼다. 메러디스 빅토리호와 세월호 이야기다. 먼저 1950년 12월 흥남 부두로 가 보자. 6.25...

 
116

#53.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케하는 남아있는 자, 하나님의 기쁨 _ 박다애 file

2016년도 주일4부예배가 청년연합찬양집회로 시작되었다. 청년 기관에서 각각 찬양의 사역을 담당하고 있는 샤론찬양선교단(외치는 자의소리여 가로되 너희는 광야에서 여호와의 길을 예비하라 사막에서 우리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케 하라...

 
115

#03. 슬픔의 절정에 춤을 준비하는 사람들 _ 홍미례 file

시30:11 주께서 나의 슬픔을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시며 나의 베옷을 벗기고 기쁨으로 띠 띠우셨나이다 내가 아이였을 때, 생애 처음으로 맞이한 죽음은 한 마을에서 나고 자란 네 살짜리 여자아이의 죽음이었다. 내 친구의 막내 동생이기도 했던 아이는 유...

 
114

#12. 타인의 고통에 한 걸음 다가서기 _ 홍미례 file

타인의 고통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요. 완전한 이해는 없고 따라서 완전한 사랑도 불가능합니다. 타인의 고통을 가장 가깝게 이해하고 공감의 폭을 넓히는 데에는 직접, 간접적 체험이 가장 효과적이겠지요. 이를테면 타인의 손톱 밑에 박힌 가시의 통...

 
113

#152. 본(本)이 되어야... file

구속사 시리즈 10권을 통해 사관학교를 등록하고 환경과 여건에 맞는 많은 반들을 수강하고 있다. 10권 “하나님 나라의 완성 10대 허락과 10대 명령”을 통해 한 가지 단어를 떠올리게 된다. 하나님 나라의 완성, 아브라함의 생애, 복의 근원. 그것은, 본(本...

 
112

#73. 집중과 몰입의 애티튜드 _ 하찬영 file

사명감 같은 것이었던 것 같다. 내가 해야 한다는, 나 밖에 없다는 그런 느낌말이다. 꽤 오래전 일인데 지금 와서 그때를 떠올려보면 너무나도 어이가 없다. 아무튼 그런 마음으로 워크샵(영화시나리오 작법에 관한, 약 6개월 코스였는데 비용이 ...

 
111

#67. 말쟁이가 없어지면 _ 홍봉준 file

말쟁이가 없어지면 “나무가 다하면 불이 꺼지고 말장이가 없어지면 다툼이 쉬느니라”(잠 26:20) 이 말씀을 읽을 때마다 나도 모르게 무릎을 탁 치게 된다. 본질을 꿰뚫는 통찰과 맛깔스러운 비유가 너무도 절묘하게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나무에 불이 ...

 
110

#48. 온전한 주일 성수 _ 김태훈 file

해외출장을 자주 다니다 보면 이런저런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된다. 처음 며칠은 시차가 맞지 않아 고생하기도 하고, 체류 기간이 길어져 몸이 현지 시간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될 즈음이면 집 밥이 몹시 그리워지기도 한다. 말이 잘 통하지 않다 보니 ...

 
109

#150. 부끄럽지 않은 등재 file

어느 날 갑자기 영문 이메일이 한 통 도착했다. 'Congratulations on Your Acceptance into Who's Who in the World' 발신자를 확인해보니 ‘마르퀴즈 후즈 후’라는 곳인데, 나를 2018년도 인명사전에 등재하고자 노미네이트 했고 인명사전에 올리기 전...

 
08345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