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498

                

  //(WE PREISE THEE O, GOD OUR REDEEMER, CREATOR)//

 

 

 

        역사적으로 15, 16세기에 걸쳐 네덜란드는 스페인의

        압제 아래서 심한 정치적 종교적 탄압을 받았다.

        그래서 다른 어떤 나라들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독립을

        위해 길고도 처절한 투쟁을 해 나가는 동안 민간에서는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노래들이 쏟아져 나오게 되었다.

 

 

 

이러한 애국적 음악운동을 주도해 나가던 사람 중에 발레리우스(A, Valerius)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당시에 쏟아져 나온 수많은 곡들을 모아서 “네덜란드 노래집”을 편찬하였다. 이 노래집은 그가 죽은지 1년 후인 1626년에 출판되었으나 불행하게도 200여 년이 지나도록 독일어 사용국에서는 빛을 보지 못하였다가 우연히 비엔나의 남성합창단 지휘자인 에드워드 키램져의 눈에 띄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이 노래집에서 6곡을 뽑아 요셉 베일에게 의뢰하여 번역한 후 1877년에 출판하였다. 이 찬송은 바로 26곡 중의 한 곡이었다. 이렇게 하여 알려지게 된 이 곡은 20세기 초에 들어와 이 곡에 알맞은 기독교 찬송시가 필요하겠다고 느낀 미국 뉴욕의 브릭 장로교회 오르간 주자 아쳐 깁슨(A, Gibson) 이 쥴리아 버클리 캐디 여사에게 작사를 부탁함으로써 탄생하게 되었다.

 

 

 

            

 

             캐디 여사는 깁슨의 제의에 기꺼이 응하여

             “오 하나님 우리의 창조주시니”라는 찬송시를

              써 주었으며 이 시를 크램져가 발굴한 곡에

              붙여서 만든 것이 바로 이 찬송이다."

 

 

 

 

 

 우리의 창조주시며 대 주재이신 하나님의 이름을 높여 찬양한다는 이 찬송의 가사에서 두 가지 찬양의 의미를 발견한다. 그것은 창조주 하나님을 먼저 밝히고 나서 귀한 것을 드린다는 것과 엎드려 경배한다는 등의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 한 가지와, 대주재 하나님을 말하고 나서는 풍랑 중 도우셨다는 것과 죽음에서 건지셨다는 등의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 한 가지다.

 

머리를 숙여 경배할 때와 머리를 들어 감사할 때가 우리의 신앙생활 중에 있음을 우리는 존중한다. 하나님이 이 모든 세상의 창조주시라는 확신은 우리로 말없이 하나님을 경배하게 하며 하나님이 대 주재 곧 만유의 주시라는 고백은 바로 우리로 그의 능력을 힘입어 사는 동안 감사의 생활과 감사의 찬송을 드리게 한다. 이러한 생활이 곧 주님의 이름을 높이 찬양하는 것이 된다.


 

  이 찬송시의 배경이 되고 있는 시편 26편 12절은 “내 발이 평탄한 데 섰사오니 회중에서 여호와를 송축하리이다.”라는 구절로서 이는 변호를 위한 기도이시다. 즉 부당한 비난에 대한 변호를 기도로 항의함으로써 극화되어 서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백 년 만에 세상의 태어나는 찬송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318 [성화읽기] 변증론자들의 업적 2009-07-19 4012
317 [성경365] 에스라와 함께 두 번째로 바벨론을 떠난 백성이 예루살렘에 도착함 5-00-01 4008
» [찬송가 해설] 오 하나님 우리의 창조주시니 (32장) 2006-03-19 4002
315 [수의 상징] 삼일만에 다시 산다는 부활신앙의 뿌리 2006-11-15 4001
314 [성경365] 바벨론 포로기간 중 장로 두어 사람이 여호와께 물음 5-00-00 4001
313 [성지순례] 다소의 사도바울 기념교회 2006-07-25 3997
312 [수의 상징] 첫 열매를 드리는 2007-03-03 3988
311 [성지순례] 다메섹의 사도바울교회와 아나니아교회 2006-10-02 3982
310 [성경365] 예루살렘의 포위와 하나님의 계시 10-00-00 3978
309 [성화읽기] 예수의 기적 2009-05-10 3976
308 [수의 상징] 성경에 나타난 히브리인의 산술법 2006-08-07 3972
307 [성경365] 에스겔 선지자에게 계시가 임함 3-00-01 3968
306 [성화읽기] 기독교 문화의 등장 2009-11-15 3966
305 [성화읽기] 벨리니의 천사의 피에타 2007-12-16 3966
304 [성화읽기] 모세와 출애굽 2009-04-12 3958
303 [찬송가 해설]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뵈어도(344장) 2006-06-21 3958
302 [찬송가 해설] 주 안에 있는 나에게(455장) 2010-02-28 3956
301 [성화읽기] 볼프 후버의 이집트로 피신하는 성가족 2009-03-01 3955
300 [찬송가 해설] 주의 약속하신 말씀 위에서 (399장) 2007-04-16 3955
299 [성지순례] 베네치아의 성 마가 성당 2006-08-30 3948
PYUNGKANG NEWS
교회일정표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찬양 HYMNS OF PRAISE
영상 PYUNGKANG MOVIE
152-896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