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498

크라나흐의 인체는 더운 관능을 뿜어낸다. 뒤러가 수학에 기반한 비례론의 과학으로 <아담과 하와>를 지어 올렸다면,크라나흐는 붓의 예민한 촉각으로 감성의 살결을 더듬어서 젊은 남녀의 인체를 빚어 낸다.

 뒤러의 아담이 인문주의의 차가운 이성으로 무장했다면, 크라나흐의 하와는 어지러운 살내음으로 보는 이의 후각을 공략한다. 뒤러가 기하학적 비례의 뼈대에 근육과 힘살을 붙이고 피부를 씌웠다면, 크라나흐는 오랜 회화적 관행이 걸쳐던 거추장스런 옷을 벗겨내고 르네상스가 자각하기 시작한 인간의 알몸을 들여다본다.

얼마나 다른가. 고대의 차가운 교훈에서 출발한 인체와 자연의 숫된 관찰에서 비롯한 인체의 생김새는!
크라나흐도 뒤러처럼 에덴 동산을 어둠 속에 가려 두었다.

그러나 인체의 움직임을 규정하는 내부 윤곽선이 지나친 완곡 어법으로 기술된 탓에 바깥 윤곽이 상대적으로 예리하게 부각되었다. 뒤러의 인체가 견고하게 균형잡힌 조형적 실물감에 접근한다면, 크라나흐의 인체는 가위로 오려 붙인 드로잉의 낱장처럼 가뿐하다.

크라나흐는 선악의 열매가 달린 인식의 나무를 하와 쪽에 세워 두지 않았다. 책임과 핑계의 소재를 가리는 조심스런 판단에서 보는 이의 해석을 열어 두었다. 하와가 과육을 한입 깨물었다. '먹음직스럽고 보기에 탐스러울 뿐더러 사람을 영리하게 해 줄 것같이 보였던'과일이 그녀의 입안에서 향기롭게 감돈다. 아담은 뒷 머리를 만지면서 망설인다. 붉은 유혹이 과일의 모습으로 달려서 그의 손닿는 곳에서 미소짓는다.

▶  루카스 크라나흐,<아담과 하와>, 1528년, 172x63cm / 167x71cm,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298 [성지순례] 미항(Fair Havens) 2006-10-22 3578
297 [성지순례] 아브라함의 고향 우르 2006-10-24 5048
296 [찬송가 해설] 먹보다 더 검은(213장) 2006-10-27 2672
295 [성지순례] 니느웨의 요나 무덤 2006-10-27 4602
294 [수의 상징] 한자 속에 삼위일체 하나님이 보인다 2006-10-28 4399
293 [성지순례] 사도 빌립 순교지(히에라폴리스) 2006-10-30 4793
292 [수의 상징] 삼족토기에 나타난 신앙의 자취 2006-11-04 4242
291 [성지순례] 로도(Rhodes) 섬 2006-11-05 3574
290 [성지순례] 고레스왕의 무덤 2006-11-05 5298
289 [찬송가 해설] 멀리 멀리 갔더니 (440장) 2006-11-05 3400
288 [성화읽기] 렘브란트의 나사로 2006-11-12 3307
287 [수의 상징] 삼일만에 다시 산다는 부활신앙의 뿌리 2006-11-15 4005
286 [성화읽기] 호싸르트의 성모자 2006-12-10 3786
285 [성화읽기]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 2006-12-10 3861
284 [찬송가 해설] 여러 해 동안 주 떠나(336장) 2006-12-10 2800
283 [찬송가 해설] 주 안에 있는 나에게(455장) 2006-12-16 4903
282 [성화읽기] 플링크의 십자가 책형 2006-12-16 4364
281 [수의 상징] 망명자 모세의 미디안에서 40년 2006-12-17 5881
280 [성화읽기] 성 베로니카 마이스터의 작은 골고타 2006-12-25 5713
279 [성화읽기]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 마드리드 2006-12-31 4350
PYUNGKANG NEWS
교회일정표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찬양 HYMNS OF PRAISE
영상 PYUNGKANG MOVIE
152-896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