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498
등록일

2009.12.13

중세 유럽에서 일반 사람들은 거룩한 질서를 지닌 사회에 살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당시의 경제.정치 제도는 엄격하게 위계적이었으며, 신에 의해서 승인되었다고 여겨진 피라미드 모델에 기초해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난에 시달렸다. 그들은 남의 땅, 즉 부유한 사람의 땅을 부쳐 먹으면서 한해 한해 근근히 살아 가고 있었다.

그들은 극소량의 식량을 위해서 일해야만 하는 농노(노예에 가까움), 농부이거나 또는 이보다도 못하였다. 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런 사람들 위에 땅을 소유한 영주가 군림하고 있었다. 또한 대개 노동자들을 감독하고 지휘하는 일련의 중간 계급 사람들이 있었다. 영주는 공작이나 왕의 신세를 지고 있었다.

이들은 영주로부터 봉사나 공물을 받고서 적은 군대를 가지고 영토를 지켜 주었던 것이다. 수도원도 이러한 봉건적 위계 질서를 모델로 구성되었다. 수도원장이나 주교는 영주와 가신(家臣)의 역할을 하면서 수도원이 갖고 있는 영토를 다스렸다. 수도원이 급격하게 부유하게 된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다. 대개 수도사들의 가족들은 수도원에 무언가를 기증하였다.

지역의 영주가 싸움터에라도 나가게 되면 그들은 자신의 재산을 돌보아 달라고 수도원에 맡겼다. 하지만 만일 영주가 돌아오지 못하게 되면 그 재산은 고스란히 수도원의 재산이 되어 버렸다. 수도원 내의 지위 가운데에는 보다 젊은 귀족 자제들의 구미에 잘 맞는 자리가 있었다. 왜냐하면 귀족의 칭호와는 달리 그들은 세습을 통해서 물려받은 칭호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도원들의 군주들로부터 부와 보호를 누리면 누릴수록 그들의 생활 양식은 점점 쾌적하게 되었다.


▶기도하는 수도회


봉건 중세 사회에서 수도원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매일 매일의 기도와 찬양을 본질적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전쟁이 일어나거나 전염병이 돌 때에는 특히 그러했다. 농노들은 일하고 기사들은 싸우고 있는 동안에 수도사들은 신에게 기도를 드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498 [중요절기] 사순절(四旬節, Lent) file 2024-02-12 11137
497 [중요절기] 맥추감사절 file 2023-06-26 10439
496 [중요절기] 고난주간 마지막날(주일) 부활주일 2023-03-31 3941
495 [중요절기] 추수감사절 file 2022-11-13 5738
494 부활이후 예수님의 행적 2014-04-12 8778
493 고난주간 여섯째날(금요일) 수난의 날 2014-04-12 6426
492 고난주간 다섯째날(목요일) 고민, 민망의 날 2014-04-12 6871
491 고난주간 넷째날(수요일) 침묵의 날 2014-04-11 7448
490 고난주간 셋째날(화요일) 변론의 날 2014-04-11 7404
489 고난주간 둘째날(월요일) 권위의 날 2014-04-11 6108
488 고난주간 첫째날(주일) 종려주일 2014-04-10 5379
487 [성화읽기] 개신교 내의 새로운 움직임 2011-04-03 4347
486 [성화읽기] 변화를 향한 절규 2011-03-27 3790
485 [성화읽기] 십자군 2011-03-20 4635
484 [성화읽기] 스코틀랜드와 웨일스에서의 부흥운동 2011-03-13 4284
483 [성화읽기] 동방 교회 2011-03-06 4442
482 [성화읽기] 비교파주의를 넘어서 2011-02-20 3659
481 [성화읽기] 자유로운 신세계 2011-02-13 4124
480 [성화읽기] 새로운 제국과 기독교 문화 2011-02-06 4619
479 [성화읽기] 신세계를 향한 항해 2011-01-30 3919
PYUNGKANG NEWS
교회일정표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찬양 HYMNS OF PRAISE
영상 PYUNGKANG MOVIE
152-896 서울시 구로구 오류로 8라길 50 평강제일교회 TEL.02.2625.1441
Copyright ⓒ2001-2015 pyungkang.com. All rights reserved. Pyungkang Cheil Presbyterian Church